인천시, 노후계획도시 용역보고회
일자리·여가 등 조화로움 목표
연수·구월 등 5곳 특성 발굴도

인천시가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첫발을 뗐다. 인천시는 4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2030 인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타당성 검토 및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주거와 일자리, 여가·문화가 어우러지는 '미래지향적' 도시 조성의 밑그림을 그리겠다는 것이 인천시 방침이다. 20~30년이 지나면 다시 정비해야 하는 도시가 아닌, 한 번 조성하면 100년 이상 지속 가능한 도시로 만들겠다는 얘기다. 국토교통부, 인천시, 연수구·남동구·부평구·계양구 등 관계기관 담당자 50여 명이 착수보고회에 참석했다.
노후계획도시는 대규모 주택 공급 등을 목적으로 택지 조성사업이 완료된 지 20년이 넘게 흐른 지역(면적 100만㎡ 이상)에 관련법에 따른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된 지역을 말한다. 정부는 노후계획도시의 낡은 도시 기능과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자 올해 4월부터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시행 중이다.
인천지역 사업 대상 지역은 연수(6.21㎢), 구월(1.26㎢), 계산(1.61㎢), 갈산·부평·부개(1.61㎢), 만수 1·2·3지구(1.45㎢) 등 5곳이다. 역세권, 마을 공동체, 주요 산업 등 지역마다 고유의 특성을 살리는 방안을 찾는 것이 이번 용역 취지다.
인천시는 여러 관계 부서·기관과 협업해 발전적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 7월 인천시와 각 구 관련 부서, 인천시교육청,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도시공사, 인천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노후계획도시정비추진단'(TF)을 구성해 첫 회의를 가졌다. TF는 이번 착수보고회를 기점으로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5년마다 재검토해야 하는 '2030 인천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현행화도 이번 용역 과제다. 인천시는 지난 2020년 이 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용역에서 최근 정부 부동산 정책, 관련법 개정 등 외부 여건 변화를 반영해 계획의 타당성을 다시 검토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용역 기간(18개월)에 기초조사, 기본계획(안) 작성, 주민 공람, 인천시의회 의견 청취 등의 절차를 거쳐 2026년 3월까지 기본계획을 확정 고시할 방침이다.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이번 계획은 단순한 정비를 넘어 일자리, 주거,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활력 넘치는 미래도시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며 "시민들이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도시를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