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경인아라뱃길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나선다.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아라뱃길 일대에 적용할 수 있는 사업을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뱃길 둔치에 '미디어 파사드'(LED 조명으로 영상을 표현하는 기법)를 도입하거나 '대표 축제'를 기획해 관광객 유치 방안을 찾는다는 게 용역의 목적이라고 한다. 인천시뿐 아니라 경인아라뱃길이 지나는 기초자치단체인 계양구는 뱃길 7㎞ 구간에 '계양아라온'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자체적인 문화·관광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아라뱃길과 서해뱃길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아라뱃길 르네상스'를 이루겠다며 서울 여의도~덕적도 여객선을 취항시키겠다는 구상이다.
경인아라뱃길이 개통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정부가 명확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해당 구간에 걸쳐 있는 여러 자치단체들이 제각각으로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행정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다. 경인아라뱃길 활성화 구상이 지자체별로 이뤄지는 데다 연구와 용역, 계획 수립이 재차 반복되는 형국이다. 큰 틀의 방향성이 없다 보니 결국 활성화 사업 계획은 누더기가 돼 실행조차 못하고 있다.
경인아라뱃길은 치수 목적으로 건설 중이던 굴포천 방수로(14.2㎞)를 한강 측으로 3.8㎞ 추가 연결해 만든 국내 최초 내륙운하 시설이다. 하지만 애초 계획과 다르게 내륙 물류 기능은 사실상 상실했고 현재는 '1조원짜리 자전거 도로'라는 오명을 받고 있다.
환경부는 해운·물류 분야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방치돼 있는 경인아라뱃길 문제를 풀겠다며 2018년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했다. 3년여간 논의 끝에 공론화위원회는 경인아라뱃길의 주운(물류·여객) 기능을 축소하는 방안을 포함해 관광 분야에 무게를 둔 경인아라뱃길의 새로운 역할과 기능을 제시했다.
문제는 환경부가 공론화위원회 권고 이행 방안을 찾겠다며 자체적으로 실시한 연구용역에서 주운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는 정반대의 결론을 내린 것이다. 경인아라뱃길을 관리하는 주무 부처마저 이렇게 방향성을 잡지 못하다 보니 인천시와 서울시 등 아라뱃길이 지나는 자치단체들은 동상이몽으로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있다.
경인아라뱃길은 국가하천으로 지정돼 있다. 10년 넘게 끌어온 아라뱃길의 명확한 활용 방안을 정부가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