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인천종합에너지 행감

'안전' 욕망, 주민수용성 검토 필요

 

송도국제도시 아파트 단지와 인천종합에너지 전경.
송도 지역난방 부족 문제 해결할 열병합발전소 건설사업이 산업부 허가를 받았다. 사진은 송도국제도시 아파트 단지와 인천종합에너지 전경. /경인일보DB
송도 열병합발전소 건설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위원회로부터 조건부 허가를 받은 가운데(10월 28일자 1면 보도=열병합발전소 조건부 허가… 송도 지역난방 숨통 트였다), 인천종합에너지가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해 반대 의견에도 더욱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인천시의회에서 제기됐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가 14일 인천종합에너지를 대상으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강구(국·연수구5) 의원은 "주민들은 안전한 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망이 있기 때문에 반대 의견도 내는 것"이라며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주민 수용성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송도 열병합발전소 신설을 두고 주민들 간 입장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송도 열병합발전소를 반대하는 일부 주민들은 지역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게시하는 등 발전소 건설 반대 운동을 펼쳤다.

인천종합에너지는 과장된 표현과 함께 사실관계를 왜곡한 합성사진을 유포했고, 주민설명회를 방해했다는 등의 이유로 주민 3명을 고소·고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강구 의원은 "주민들은 집회의 자유가 있고 온갖 발언을 할 수 있다. 주민들이 이익을 목적으로 반대를 하는 건 아니지 않느냐"며 "반대의 목소리에 더 귀 기울이고 주민수용성을 충분히 검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천종합에너지 이수헌 대외협력이사는 "송도 열병합발전소를 진행하는 과정에 주민들과 소통이 이뤄져야 하는데 허위사실이 주민들에게 잘못 전파되는 상황에 (고소·고발) 결정을 하게 된 것"이라며 "향후 어떻게 진행할지 대표이사와 계속 논의 중"이라고 답했다.

인천 연수구 Ⅳ송도국제도시 집단에너지 사업자인 인천종합에너지는 향후 늘어날 열에너지 수요량에 대비하기 위해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송도 열병합발전소는 액화천연가스(LNG)기지 인근(송도동 346번지)에 열 297Gcal/h, 전기 498㎿ 용량으로 건설이 계획돼있다.

송도 계획인구와 개발구역이 늘어난 데다 바이오 특화단지 등이 들어서면서 송도국제도시의 열에너지 수요량은 2025년 638G㎈/h, 2030년 1천12G㎈/h, 2035년 1천108G㎈/h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인천종합에너지가 송도에 공급 중인 열에너지는 514.8G㎈/h(허가량 853G㎈/h)로, 2029년부터 열에너지가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