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硏, 월미공원 등 9곳 후보 제시
지역사회, 속도감 있게 추진 지적도
인천시가 5·3민주항쟁 등 지역 민주화운동 기념관 설립 검토 작업을 다시 시작했다. 인천연구원이 월미공원과 도시산업선교회 등 9곳을 후보로 제시한 가운데, 지역사회에서는 인천시가 속도감 있게 기념관 건립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하반기 인천연구원에 민주화운동기념관 조성 입지와 관련한 학술연구를 의뢰했다. 지난해 8월 국회 본회의에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5·3민주항쟁이 민주화운동의 정의에 포함돼 기념관을 설립할 근거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2020년에도 민주화운동기념공간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인하대학교에 연구용역을 맡겼다. 인하대는 용역 결과 옛 시민회관 쉼터 등 10곳을 기념공간 후보지로 제시했으나, 인천시가 각 지역의 관련 부서 의견을 수렴한 결과, 모두 부적정하다고 판단하면서 기념공간 설립 추진이 중단됐다.
인천민주화운동기념관 설립 움직임은 2022년 민선 8기 시장직인수위원회가 기념관 조성을 우선순위로 삼으면서 재개됐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이 논의되면서 5·3민주항쟁이 민주화운동의 범위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자 인천민주화운동센터와 (사)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등이 기념관 설립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시의 의뢰를 받아 진행한 연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인천연구원이 제시한 후보지는 ▲월미공원 ▲자유공원 일원 ▲인천도시산업선교회 ▲옛 시민회관 쉼터 ▲인천명품관 ▲수봉문화회관 ▲인천뮤지엄파크 ▲인천대 제물포캠퍼스 ▲인천북부근로자 종합복지관 등 9곳이다.
인천연구원 남근우 연구위원은 "인천지역 민주화운동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잘 담을 수 있는 지역 내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표 참조

오경종 인천민주화운동센터장은 "민선 8기 정책과제 우선순위로 포함됐지만 2년이 지난 지금까지 기념관 설립 사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후보지가 하루빨리 선정돼야 국비 확보 등 다음 절차를 밟을 수 있는데, 시의 추진 의지가 부족한 것 같다"고 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9개 후보지는 시 산하 사업소가 관리하는 시설인 만큼 기존 시설의 이전을 비롯해 검토할 내용이 많다"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