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인건비 상승 등에 적자 쌓여

道 “도민 부담 등 고려 조정 검토”

총파업 앞둔 버스 차고지
수원시내 한 버스 차고지에 버스가 정차한 모습. 2024.9.3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경기 지역 버스 업계가 시내버스 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나섰다. 지난 2019년 이후 요금 동결을 유지해 오고 있지만, 물가·인건비 상승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이 되지 않는 점 등이 겹치며 적자 누적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게 업계 전반의 입장이다.

17일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도내 31개 버스업체가 이미 자본잠식 상황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요금 외에 별다른 수익 구조가 없다는 업계 특성상 이들은 요금 인상 없이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앞서 조합 측은 지난해 12월 경기도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시내버스 요금 조정을 건의했으나, 아직까지 결정된 건 없는 상태다.

조합 관계자는 “국토교통부 훈령에 따르면 도는 시내버스 운임에 대해 유지·인상·인하 여부 등을 2년마다 검토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지만 2019년 이후 현재까지 요금 조정이 없었고, 지난 2022년에도 운송수지 적자 누적으로 도에 요금 조정을 건의했지만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지난해 적자 누적과 재정 지원의 한계를 이유로 서울·인천 등 수도권 지하철은 동시에 요금을 인상했는데, 경기도만 버스 요금을 동결 결정한 건 이해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7일 (사)대중교통포럼 주최로 열린 ‘경기 시내버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한양대 고준호 교수는 “운전자 인건비 상승과 신도시 건설 등에 따른 시내버스 서비스 확대 요구 등을 감안할 때 요금 인상의 필요성이 있다. 물가·인건비 등과 연계해 시내버스 요금 조정을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만하다”고 언급, 업계의 입장에 힘을 실은 바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물가 상황에 대한 정부 방침과 도민들의 부담 등을 고려해 요금 조정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