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복구용 적립한 재난관리기금

복지부, 경기도에 344억 추가 요구

“정부 정책 실패 책임 떠넘기는 셈”

지난 9월 8일 오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4.9.8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지난 9월 8일 오전 수원시 영통구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실에서 의료진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4.9.8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정부가 촉발한 의료대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경기도의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기관 지원용으로 투입된 가운데, 이에 대한 적절성 여부가 경기도를 대상으로 한 경기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마에 올랐다.

정부가 의료난을 ‘재난화’해 안그래도 재원이 부족한 지자체에 책임을 전가한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을 개정하면서, 재난관리기금 용도에 의사 집단행동과 관련해 의료기관의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한 지원을 추가했다.

이후 경기도는 도내 상급종합병원 등 27개 의료기관 및 응급실 비상 진료 인력 채용 비용과 의료진 야간·당직·휴일근무수당 지급을 위해 재난관리기금 50억800만원을 집행한 바 있다.

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국중범(민·성남4) 의원은 18일 도 안전관리실 대상 행감에서 “정부 정책 실패의 책임을 지자체에 전가하는 유례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라며 재난관리기금 투입의 문제점을 짚었다.

재난관리기금은 재난 예방 및 발생 시 구호·복구를 위해 지자체가 적립해 준비하는 의무 자금인데, 의료대란 대응이 재난관리기금의 본 목적에 합당하지 않다는 게 국 의원의 주장이다.

보건복지부는 지자체에 재난관리기금의 추가 분담을 요구하고 있는데 경기도에는 344억원을 요청했다. 이는 전국 지자체가 추가 분담해야 하는 1천712억원 중 20.1%에 달한다.

국 의원은 경기도가 정부에 재난관리기금 보전을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 의원은 “의료대란에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하는 것에 타 지자체에서도 많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며 “17개 광역지자체와 긴밀히 소통하고 협의해 정부에 보전을 요청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이종돈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의료대란 대응에) 정부 차원의 예산이 거의 소진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가 각 시도에 재난관리기금에서 지원을 부탁한다는 취지의 말을 했고 이후 시행령이 개정됐다”며 “(보건복지부와) 협의할 당시에 보전해달라고 요청했었는데 아직 정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