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량에 비해 칼로리가 적으면

감정조절 어렵고 우울감 높아져

식이섬유 부족해도 행복감 감소

규칙적인 생활로 체력 재충전을

/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활동량에 비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부족하면 감정 조절이 어렵고 우울감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움직임이 많다면 그만큼 열량을 섭취해줘야 정신건강에도 좋다는 이야기다. 젊고 건강한 사람의 노화 속도를 결정하는 것은 감정과 운동 그리고 영양이다. 고령자나 현재 질병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면 영양을 우선적으로 챙겨야 신체활동이 가능해지고, 감정적으로 편안해진다.

몸속 장기가 제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힘이 비축돼 있으면 마음도 너그러워진다. 하지만 몸이 힘들면 나도 모르게 부정적인 반응, 분노, 화 등이 불쑥 튀어나온다. 평상시와 비슷한 정도의 일에도 짜증을 내며 감정 조절이 어려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감정을 잘 조절하려면 체력을 잘 유지해야 한다.

박민선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정신 건강과 관련된 영양 우선순위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며 “여성은 기본적으로 총칼로리를 부족하지 않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섭취 열량과 활동 열량의 균형을 적절하게 맞춰야 하는데, 평상시보다 외부 활동이 많거나 바쁜 일정으로 긴장을 줄이기 어려웠다면 100~200㎉ 정도 음식 섭취를 늘려줘야 한다. 과격한 운동을 한 날에는 하지 않은 날보다 200~300㎉ 정도 더 섭취해야 감정 조절에 도움된다. 여성은 남성보다 체구가 작아 움직임에 따른 혈액순환이 빠르다. 그래서 열량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심장이 쉽게 지칠 수 있다.

남성의 경우에는 식이섬유 섭취가 좀 더 강조된다. 식이섬유는 잡곡밥, 잡곡빵류, 고구마, 감자 등 곡물류와 과일, 채소에 함유된 섬유질을 말한다. 식이섬유를 적절히 섭취하면 암,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 치료와 예방에 도움된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대 가정의학과 조신영 교수 등이 한국 유전체역학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보면 남녀 모두 식이섬유가 부족했을 때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할 때 심리적인 안정감과 행복감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운동을 많이 하거나 열량 섭취가 많고 체구가 큰 남성일수록 식이섬유를 적게 섭취하면 심리적 안정감이 떨어지고 급성 스트레스 대처에 어려움을 보였다. 남성에게 발달한 근육은 탄수화물이 주 에너지 원이기 때문에, 식이섬유를 부족하지 않게 먹어야 한다.

여성 중에서 평소 고기 같은 고열량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식이섬유도 함께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소화 흡수가 원활하지 않아 우울감을 높인다고 보고됐다. 유전적으로 육류 섭취가 일상화 돼 있다면 과일이나 채소 등을 섭취해야 할 때 다른 음식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좋다.

박 교수는 “남녀의 생리적 차이를 이해하고 생활하면 체력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할 수 있다”며 “몸이 필요로 하는 것, 즉 섭취와 활동의 균형을 맞추고 규칙적인 생활로 체력을 재충전해 건강하게 환절기를 보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