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송도 등 여론전에 휩쓸려
원도심 발전 위축 ‘불균형’ 우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국제도시 토지매각 대금을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사업과 영종국제학교 사업 등에 투입한다는 내용이 퍼지면서 각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이 여론전을 펼치는 등 신도시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제3연륙교 명칭을 두고도 영종과 청라지역 정치권이 공방전을 벌이고 있어, 정치권이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19일 국민의힘 신성영(중구2) 인천시의원과 중구의회 의원들은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송도·청라 정치권의 지역 간 갈등 유발 행위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최근 송도 한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인천경제청 특별회계로 서울 7호선 청라 연장 사업비 7천억원과 영종국제학교 사업비 2천억원 등을 부담하는 내용에 대해 반대하자 맞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들 의원은 2026년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의 명칭을 두고 최근 청라를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이 ‘청라대교’로 확정할 것을 요구한 행동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지난 4일 더불어민주당 김교흥(서구갑), 이용우(서구을) 국회의원과 청라지역 주민들은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3연륙교 조성원가의 절반가량인 3천억원을 청라 주민이 분담했고, 영종대교는 이미 명칭이 있는 만큼 제3연륙교의 명칭을 청라대교로 확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도를 지역구로 둔 민주당 정일영(연수구을) 국회의원과 연수구을 지역위원회는 지난 14일 성명을 통해 “송도에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교통 문제가 많은 만큼 송도 개발을 통해 발생한 이익금은 송도에 우선적으로 쓰여야 한다”고 했다.
이처럼 정치권이 잇달아 성명을 내는 이유는 지역 여론의 강도 높은 비판과 압박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송도 한 시민단체는 지난 4일 인천경제청 앞에서 ‘송도 자산이관 항의 집회’를 열고 지역구 국회의원과 시의원들에게 문자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영종지역 정치권 역시 송도·청라가 적극적으로 나서자 기자회견을 통해 대응에 나선 셈이다.
정치권이 주민 의견을 관계 기관에 전달할 수는 있지만 지역 갈등을 부추겨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구도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민배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그동안 부동산 가치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여론을 의식해 송도, 청라, 영종 등에 투자가 집중됐다”며 “같은 기간 원도심의 교통, 공원, 교육 등 인프라는 악화됐다. 정치권이 지역 이기주의에 떠밀리기만 하면 원도심은 계속 피폐해질 것”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