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뉴스’ 양대 포털서 외면
민주 허종식 의원 알권리 침해 지적
“자극적 콘텐츠만 유통, 역차별”
네이버, 지역·중소社 활성 논의키로

네이버·카카오 포털(이하 양대 포털)이 인천·경기지역을 취재 권역으로 삼는 콘텐츠제휴사(CP)를 1개사만 선정, 운영하면서 이 지역 주민들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나왔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뉴스 수용자가 거주하는 인천·경기지역에서 생산된 ‘지역뉴스’가 국내 뉴스 유통망을 장악하다시피 한 양대 포털에서 외면받는 왜곡된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의원은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지적하고 “양대 포털이 CP사 입점 과정에서 뉴스 콘텐츠 제공에 대한 역차별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 의원실이 네이버에서 받은 ‘지역별 CP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양대 포털은 전국을 9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 1~2개 언론사와 CP 계약을 맺고 기사를 공급받고 있다. 허 의원은 권역별 인구 비례에 따른 CP 배분이 이뤄지지 않은 점을 문제삼고 있다. 1천670만명이 거주하는 인천·경기지역은 CP가 1곳에 불과한데 강원(152만명), 대구·경북(490만명), 부산·울산·경남(760만명)지역은 2곳의 CP가 선정돼 있다. 권역별 인구 수를 기준으로 보면 강원·영남권보다 최대 10배 많은 인구의 인천·경기지역이 CP 선정에서 규모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인천·경기지역 뉴스는 지상파 방송에서도 보기 힘들다. KBS와 MBC가 지역총국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인천·경기지역의 행정·자치·경제·사회·교육·문화·스포츠 뉴스 노출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반면, 포털에서 조회수를 높일 수 있는 자극적 소재의 콘텐츠만 유통되면서 ‘부정적 도시 이미지’를 야기한다는 것이 허 의원의 판단이다.
허 의원은 “사실상 네이버가 기사 유통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과 경기 지역 시민들이 지역뉴스를 접할 기회를 차단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CP사가 선정돼야 하고 그 절차와 과정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와 카카오는 그동안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통해 공동으로 진행해 온 ‘CP 심사’를 앞으로 각자 운영한다. 네이버는 곧 다양성위원회를 구성해 지역·중소 언론사 활성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100% 정량 평가 방식의 CP사 입점 계획을 최근 공개했다.
/김명래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