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관계자 30명 노동자 강제 노역 애도… 정무관 이력 등 문제돼 통보

일본 주최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한 우리 정부가 25일 일제강점기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조선인 노동자를 추모하는 별도 추도 행사를 열었다.
한국 정부는 이날 오전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였던 ‘제4상애료’ 터에서 추도 행사를 개최했다.
추도식에는 한국 유족 9명과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를 비롯한 주일 한국대사관 관계자 등 약 30명이 참석했다.
박 대사는 추도사에서 “80여년 전 사도광산에 강제로 동원돼 가혹한 노동에 지쳐 스러져 간 한국인 노동자분들의 영령에 머리 숙여 깊은 애도를 표하며 삼가 명복을 빈다”고 말했다.
당초 한국 유족과 정부 대표는 전날 일본 주최로 개최된 ‘사도광산 추도식’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행사 전날인 23일 전격 불참을 일본에 통보했다.
추도식 일본 정부 대표인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의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 문제와 추도사 내용 등이 조선인 노동자 애도라는 행사 취지에 부합하지 못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지난 7월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한국의 등재 동의를 얻기 위해 매년 현지에서 열기로 약속한 첫 노동자 추도식이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이날 ‘사도광산 추도식’이 한국 불참으로 ‘반쪽짜리 행사’로 치러진 데 대해 유감의 뜻을 표했다.
한편 경인일보는 지난달 초 일본 니가타현의 사도광산 현장을 직접 찾아 ‘강제’ 빠진 노역 기록 등 역사왜곡 현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한 바 있다.
당시 현장에서 공개한 자료엔 ‘모집’과 ‘돌아갔다’ 등 사도광산에 동원된 조선인들의 모습에 강제성 없이 자발성이 느껴지는 단어들로 채워졌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