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환 아주대 의대 교수팀 연구
여러 식품 섭취시 내재역량 높아
한국 노인의 식사 유형이 ‘내재 역량’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내재 역량은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가 밝힌 새로운 개념으로, 신체적 기능뿐 아니라 정신적·사회적 기능 등 종합적으로 ‘얼마나 건강하게 나이 들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이러한 내재 역량은 건강한 노년을 위해 강조되고 있어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아주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윤환(사진) 교수팀은 한국 노인 노쇠 코호트 연구(2016~2022년)에 참여한 70~84세 노인의 자료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노인 665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남성은 그룹1(과일류·육류·난류·우유류·알코올), 그룹2(쌀·김치), 그룹3(쌀·두류·채소류·어패류) 3가지 식사 유형으로 구분했다.
여성은 그룹1(두류·견과류 및 종실류·과일류·육류·우유류), 그룹2(면류 및 만두류·어패류), 그룹3(쌀·채소류 및 김치) 유형으로 나눠 내재 역량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내재 역량은 인지, 이동성, 활력, 감각, 심리적 영역을 측정했다.
연구결과 남성 노인의 경우 그룹3이 41.7%, 그룹1 33.9%, 그룹2 24.5% 순으로 쌀과 비교적 다양한 식품을 섭취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연령과 교육수준, 만성질환 개수, 신체활동, 결혼상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로는 쌀과 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그룹2’에 비해 다양한 건강식품과 알코올을 섭취하는 ‘그룹1’의 내재 역량 점수가 더 높았다.
여성 노인의 식사 유형은 그룹3이 42.5%, 그룹1이 40.2%, 그룹2 17.3%였다. 여성 노인들의 경우 다양한 건강식품을 섭취하는 ‘그룹1’이 쌀과 채소·김치를 주로 섭취하는 ‘그룹3’ 보다 내재 역량 점수가 높고, 우울증은 더 적었다.
개인마다 ‘평소 운동을 얼마나 하는지’, ‘만성질환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사회활동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하는지’ 등에 따라 내재 역량은 달라진다. 이윤환 교수는 “한국 노인의 식사 유형이 ‘내재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며 “보다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해 평소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