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거부감 고려… 5개 지자체, 이번주 선도지구 지정결과 발표

분당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분당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정부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재건축을 위한 ‘이주주택’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주택 공급을 늘려 이주수요를 흡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임대주택에 대한 1기 신도시 주민의 거부감이 상당한 만큼 일반분양 주택을 공급해 자연스럽게 전월세 물량이 확대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기 신도시를 관할하는 5개 지방자치단체는 이번 주 1기 신도시에서 재건축을 가장 먼저 추진하는 선도지구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선도지구로 지정할 수 있는 가구수는 분당 8천가구, 일산 6천가구, 평촌·중동·산본 각 4천가구 등 최대 3만9천가구로, 여기서 최대 50%씩 추가 선정할 수 있다. 지자체가 결과 발표를 마치면, 국토부는 다음달 초 선도지구를 포함한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주대책을 제시할 계획이며 선도지구 주민은 2027년 착공 전 이주해야 한다.

당초 국토부는 ‘이주단지’를 조성해 활용한 뒤 공공임대나 공공분양주택으로 돌릴 계획이었으나 지난 6월 이주단지 조성계획을 사실상 철회한 데 이어 최근엔 선도지구 이주를 위한 전용주택(이주주택)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토부는 선도지구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재건축이 진행되면 발생할 이주수요와 1기 신도시 및 주변 지역 주택공급량을 시기별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족분에 대해서만 주택공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일산의 경우, 3기 신도시 고양창릉, 중동은 부천대장에 지어지는 아파트를 이주대책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앞서 국토부는 1기 신도시 내 영구임대주택 재건축을 함께 진행해 이주대책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안도 내놓았다. 영구임대 단지 이주민을 위한 이주주택은 별도로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주주택을 만들어 놓고 나면 추후 활용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며 “1기 신도시 주택 공급을 늘려 자연스럽게 이주수요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sh2018@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