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발 땐 북한 위협 가능성 여전
파주·연천 등 주민들 보호 목적

경기도가 당초 이달 말까지로 설정한 파주시·연천군·김포시 내 접경지역 위험구역을 무기한 연장키로 했다.
위험 발생 우려가 여전하고 위험구역 설정 조치 이후 대북전단 살포가 이뤄지지 않은 점 등 성과가 있다고 판단해서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26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겨울철에도 대북 전단 살포가 가능한 기상 상황이 지속되는 점, 북한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한 위협이 계속되면서 접경지 주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위험구역 설정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달 16일 파주시·연천군·김포시내 11곳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하고 오는 30일까지 대북전단 살포 목적의 출입 행위를 금지했다.
대북 전단 살포 관계자의 출입·행위금지 및 제한명령 위반 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지난달 31일 납북자가족모임이 대북전단 공개 살포를 예고하자 도 특사경 77명, 파주시 인력 70명을 비롯해 북부경찰청 기동대 8개 부대, 파주소방서 등 총 800명을 동원해 살포행위를 저지한 바 있다.
위험구역에는 도 특사경 등 120여명이 매일 순찰 중이며 24시간 출동 가능한 현장 대응 체계를 구축한 상황이다.
이에 위험구역 설정 명령 이후 위험구역 내 대북전단 살포는 없었으며,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 행위도 줄어들었다는 설명이다.
실제 북한은 지난 5월 28일부터 위험구역 설정 전까지 28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 6천600여개를 날려보냈는데 위험구역 설정 이후에는 3차례에 90여개를 살포했다.
위험구역에 해당되는 지역은 지난번 설정 지역과 동일하며, 이외 지역에서도 특이한 움직임이 포착된다면 위험구역 설정을 검토할 방침이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