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의 교원단체와 교사들이 내년 3월부터 시행할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거부하고 나섰다. 정부는 디지털 대전환을 예고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정부가 디지털교과서 도입계획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으며,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지원하는 디지털 튜터 배치와 디지털 인프라 구축 차질을 근거로 도입 반대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교과서 도입의 성패를 좌우할 디지털 튜터 배치가 차질을 빚고 있다. 디지털 튜터는 교사를 도와 수업용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수업중 학생의 디지털 역량 차이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활용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인천 지역 디지털 튜터 배치 비율은 약 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503개 학교 중 디지털 튜터가 배치된 곳은 27개 학교에 불과해 서울의 95% 배치와 큰 격차를 보인다.
디지털 교과서는 당장 내년 3월부터 초 3·4, 중1, 고1 학생들에게 먼저 적용되며 오는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이에 따른 디지털 교과서 인프라 구축도 미비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1만2천90개 학교 중 무선 인터넷 속도 개선이 필요한 학교는 1천452개 학교(26.6%)로 집계됐다. 인터넷 속도 개선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지난 19일부터 전국에서 ‘AI 디지털 교과서 거부 교사선언’에 나서고 있어 1만여명의 교사가 거부선언을 한 상태이다. 현재 도입계획을 취소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교조 뿐 아니라 인천교사노조는 디지털교과서 정책 자체가 폐기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교사들은 수업 외의 업무부담이 더 커질 것도 우려하고 있다.
국회에서는 AI(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의 교과용 도서 지위를 박탈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26일 국회 교육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했다. 야당은 AI 디지털교과서 배포에 막대한 예산이 들고, 학생들의 문해력이 하락할 우려가 있다며 교과서 채택에 반대해 왔다. 교육부의 계획과 교육 현장은 딴판이다. 정부는 과연 내년 3월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실제로 가능한지 현장부터 면밀하게 점검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디지털교과서의 성급한 추진은 의료개혁 혼란에 이은 교육정책의 대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