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찾은 김동연, 정부 신청 계획
이외 피해 많은 시·군도 추가 검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대설로 피해를 입은 평택·안성·용인 등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키로 했다.
김 지사는 2일 평택·안성 등 폭설 피해 지역을 현장 방문한 자리에서 “경기도와 평택·안성·용인의 일부 지역이 함께 특별재난지역 신청을 할 것이며 이외에도 피해가 많은 시군에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요청을 검토할 것”이라며 “특별재난지역을 신청하면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지난달 국회에 제출됐다. 국회와 정부가 빠른 시간 내 처리해 주시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하더라도 시간이 걸리는 만큼 경기도와 일선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피해 복구를 위해 추가 예비비 투입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재정은 이런 데 쓰라고 있는 것”이라며 “이미 재해기금으로 300억원 이상 썼다. 필요하다면 더 지출해서라도 통상적인 방법을 뛰어넘는 절차로 빠른 시간 내에 복구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가 이날 찾은 평택 진위면 하북리는 폭설로 113건의 피해가 접수됐으며 피해 면적은 비닐하우스와 농업용 창고 등 22만6천㎡로 잠정 집계됐다.
평택시의 폭설 피해액은 농업·축산을 합쳐 5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안성시도 전날까지 폭설 피해액을 350여억원으로 잠정 집계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 선포되면 해당 지자체 재정자립도에 따라 피해 복구비 중 지방비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의 50∼80%를 국고에서 지원해준다.
또 생계구호를 위한 재난지원금 지급, 전기요금·건강보험료 등 공공요금 감면 등의 혜택도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