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민·관 협력 빈집정비사업 첫번째 사례로 포천시 빈집을 공원으로 만들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민·관 협력 빈집정비사업 첫번째 사례로 포천시 빈집을 공원으로 만들었다. /경기도 제공

도심·농촌을 가리지 않고 속출하는 빈집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10월14일자 1면 보도), 경기도가 민·관 협력 빈집정비사업 첫번째 사례로 포천시 빈집을 공원으로 만들었다. 민·관 협력 빈집정비는 이번 사례가 전국 최초다.

수원 번화가 인계동마저 '공동화' 도심 속 흉물 [경기도 빈집 리포트·(1)]

수원 번화가 인계동마저 '공동화' 도심 속 흉물 [경기도 빈집 리포트·(1)]

게 '빈집'이다.그간 빈집은 주로 농어촌 지역이나 도농복합지역 등에 버려진 집을 떠올렸다. 하지만 도시가 많은 경기도 역시 빈집으로 골머리를 앓기 시작했다.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도심 속 빈집이 늘어났고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미분양 문제가 불거지며 잠재적 빈집들도 생겨났다.경인일보는 경기도 빈집 실태를 추적했다. 한국보다 먼저 빈집의 문제를 인지하고 해결에 고심 중인 일본 현지 사례를 통해 도내 빈집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살폈다. → 편집자 주수원 인계동 도심 속에도 빈집이? 노숙자들이 이런 거 저런 거 막 갖다놓고 불도 나고 고양이 배설물까지…말로 다 못해유정순(71)씨가 50여년째 살고 있는 수원 인계동 구천교 일대는 팔달구 중앙에 있는 마을이다. 대도시인 수원에서도 특히 인계동 일대는 번화가지만, 유씨가 사는 마을은 늘 한적하다. 도심공동화로 인해 젊은층이 빠져나간 전형적인 구도심이다.마을을 거닐다보면 빈집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건물 외부 슬레이트는 누렇게 변했고, 반쯤 뜯겨나간 건물 벽면이 곳곳에 나뒹굴었다. 일부 빈집 대문에는 '이 지역은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 경찰관 순찰 강화구역으로 지정된 곳입니다'라는 문구가 붙여져 있었다. 온갖 나무와 잡초가 빈집 지붕까지 덮었다.유씨의 안내를 따라 이른바 '빈집 골목'으로 향했다. 골목 입구에는 빈집을 비집고 나온 쓰레기 더미가 있었다. 성인 한명이 가까스로 지나갈 정도의 이 골목에는 양옆으로 빈집 4호가 다닥다닥 붙어있었다. 골목에 맞닿은 집들 중 절반 이상이 빈집이었다.유씨는 이곳을 '골치아픈 동네'라고 소개했다. "한때 도로가 생긴다는 소문이 있었는데 계획이 철회되면서 다 떠나갔어요. 그 뒤로 사람들이 싹 빠졌고요. 지금은 혼자 사는 할머니들만 남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3115

경기도는 포천시 및 포천지역 예비역 부사관 위주의 50여명으로 결성된 KMS봉사단과 함께 포천시 신읍7동 마을회관 앞 주택가 빈집을 주민들을 위한 쌈지공원(건물 사이 자투리땅에 있는 공원)으로 조성했다고 5일 밝혔다.

포천시가 소유주로부터 빈집 터를 3년간 공공활용하는 동의를 받은 후 철거했고 KMS봉사단은 펜스 설치(약 25m), 화단 조성(15㎡), 영산홍(120주) 식재 등 공원 조성에 참여했다.

도는 민·관 협력 빈집정비 사업을 지속하기 위해 도시재생 관련 사회적 경제조직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빈집정비사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도는 지난 2021년부터 4년간 총 262호의 빈집정비를 지원했다. 지난 7월에는 행정안전부가 공모한 빈집정비 보조사업에 선정돼 국비 3천만원을 확보했으며 동두천·평택에서 경기도형 빈집정비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