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산후조리원 지역화폐 모자라

도심 떨어진곳은 도우미 방문 꺼려

“다양한 상황고려 섬세한 설계를”

경기도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경인일보DB
경기도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경인일보DB

경기도 내 산후조리 지원책이 취약계층 산모의 부담을 덜기에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비싼 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엔 지원금이 모자라고, 산후도우미 서비스의 경우 운영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10일 도에 따르면 각 시·군은 산모에게 산후조리 명목으로 지역화폐 5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도내 임산부는 정부에서 지급하는 첫만남이용권(200만원)을 합치면 총 2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하지만 도내 민간 산후조리원의 평균 이용 가격은 2주 기준 332만원(보건복지부 자료)에 달한다. 첫만남이용권과 지역화폐를 전부 사용해도 산후조리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셈이다.

금전적 여유가 없는 취약계층 산모들의 경우 민간 산후조리원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부모 지원단체 관계자는 “시중 가격의 3분의 2 수준에 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해도 입소를 원하는 산모는 한 명밖에 없었다”며 “육아 용품을 구매하고 나면 남은 지원금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렴한 가격에 24시간 돌봄이 가능한 공공 산후조리원이 대안으로 떠오르지만 지역이 한정적인 데다, 예약 경쟁도 치열하다. 도내 공공 산후조리원이 여주와 포천 두 곳밖에 없고, 이 중 취약계층 산모가 이용할 수 있는 자리는 20개(여주 8개·포천 12개)에 불과하다. 포천 공공산후조리원 관계자는 “예약을 접수할 때 취약계층 임산부 30명 가량이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고 했다.

산후조리원 이용이 어려운 산모들을 위한 재가 방문 형태(산후도우미) 서비스는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자체에서 이용료만 지원할 뿐 산모 스스로 도우미 업체를 섭외해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어려움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특히 도심에서 떨어져 있는 지역의 경우 산후도우미를 구하는 일조차 쉽지 않다. 용인시 처인구에 사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 김모(30)씨는 “비싼 도심 집값 때문에 외곽에 집을 마련했는데, 거주지가 멀다는 이유로 산후도우미 업체에서 잇따라 거절 의사를 표했다”며 “여러 군데 알아본 끝에 겨우 도우미를 섭외했다”고 토로했다.

윤김지영 창원대 철학과 교수는 “현행 산후조리 지원은 보편적인 기준으로 실시하는 탓에 소외계층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지원책이 보다 효과를 내려면 여성의 경제력이나 가족 형태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해 섬세하게 설계돼야 한다”고 했다.

/마주영기자 mang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