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의약품·커피캡슐 등 회수물품 투함구 분리… 연내 90여개 우선설치

ECO 우체통.  /우정사업본부 제공
ECO 우체통. /우정사업본부 제공

우체통이 40년 만에 모습을 바꾸고 자원재활용 창구로서 기능을 본격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우편물 등을 넣는 투함구가 두 개인 새로운 형태의 ‘에코 우체통’을 도입한다고 16일 밝혔다. 현재의 우체통은 1984년부터 쓰이던 형태다.

새 우체통은 회수물품에서 나올 수 있는 오염물질이 우편물과 섞일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우편물과 폐의약품, 사용한 커피캡슐 등 회수물품을 넣는 투함구를 분리했다.

또한 우편물 투함구는 우체국 2호(27㎝×18㎝×15㎝) 크기의 소포상자를 넣을 수 있도록 키워, 편지봉투뿐 아니라 작은 소포도 투입할 수 있도록 했다.

소포는 우체통 표면에 있는 QR코드와 우체국 앱과 사이트의 ‘간편 사전 접수’ 코너를 통해 발송을 신청할 수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에코 우체통을 올 연말까지 서울 소재 총괄 우체국 22곳 등에 90여개를 우선 설치하고 추후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목은수기자 wo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