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자 증가와 고령화 심화로 여러 약물을 동시에 먹는 다제약물 복용자가 증가세에 있지만, 과도한 약물 복용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도입된 자문약사 상담 제도는 가동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다제약물 복용자는 만성질환이 1개 이상이고 상시 복용하는 약물이 10개 이상인 자를 말한다. 다제약물 복용 시 약물 중복 등으로 인한 부작용 가능성을 우려해 전문가들은 최소한의 약물만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특히 간이나 신장의 대사 능력이 떨어진 고령층은 다수 약물로 인한 부작용 우려가 더 크다는 게 공단 측의 설명이다.
매일 10개 이상의 약을 복용하는 인구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 2021년 108만명이었던 다제약물 복용자는 2022년 117만명, 지난해 129만명에 이어 올해 상반기 기준 136만명으로 증가했다.
공단은 약물 부작용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 2018년부터 다제약물 관리 시범사업을 운영했다. 해당 사업은 지역별로 자문약사를 위촉해 약물 관리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거나 의사·약사·간호사 등이 협업해 환자에게 약물상담을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운영돼 왔다.
공단은 경기도 내 25개 지자체(가평·광주·구리·군포·이천·안성 제외)에 148명의 자문약사를 위촉해 둔 상태다. 하지만 이 중 실제 상담에 나서고 있는 자문약사는 40% 정도에 그치고 있다. 가령 1인 약국을 운영하는 약사의 경우 방문 상담 시 자신의 약국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 등의 현실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공단은 자문약사들의 상담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민 중이라는 입장이다. 공단 관계자는 “약사 2명을 한 조로 묶거나 약사 1명에 약대생 1명을 붙여 상담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