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야간시간 제외 검토 건의에
국방부 “계획에 없다” 기존 입장만

북한 소음공격과 관련해 인천시를 비롯한 접경지역 지방자치단체가 ‘주민 보호’를 위해 대북방송 중단을 요청하고 있으나 군(軍) 당국은 ‘방송 중단 계획이 없다’는 기존 입장만 고수하고 있다.
인천시 김성훈 시민안전본부장은 2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북한의 대남확성기 소음공격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근 국방부에 대북방송 중단 방안 등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강화군과 마찬가지로 소음공격 피해가 심각한 경기도 지자체도 정부와 지역 군 부대에 대북방송 중단 등을 요청하고 있지만 상황은 다르지 않다.
경기도 접경지역 가운데 북한 소음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큰 지역은 파주시 군내면 대성동과 김포시 하성·월곶면 등이 있는데, 빈도는 이전보다 줄었지만 야간에 집중적으로 소음공격이 진행되는 등 주민들의 피해가 큰 상황이다.
파주시는 국방부를 비롯해 대북방송 운용 지역 관할부대인 1군단 사령부 등에 방송 중단 건의 공문을 보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김포시도 김병수 시장과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국방부와 행정안전부에 방송 중단 필요성을 요청하고 나섰으나 대북방송은 계속되고 있다.
정부와 군이 대북방송 중단에 대해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 지자체들도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파주시 관계자는 “공문을 수차례 보냈지만 공식적인 회신을 받지 못했고, 군 관계자와 접촉한 결과 ‘대북방송을 지속할 예정’이라는 짧은 답변만 받았다”고 했다. 김포시 관계자도 “중앙 정부 차원의 안보 문제이기에 지자체에서는 계속 방송 중단 요청을 하는 것 외엔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