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회의장 공관으로 출동한 군인들이 포착된 공관 폐쇄회로(CC)TV를 공개했다.  왼쪽부터 01시 42분 국회의장 공관 담벼락 외곽을 걸어가는 계엄군, 01시 50분 국회의장 공관 정문에 집결한 계엄군. 04시 45분 국무회의를 통해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 15분 경과 후 철수하는 계엄군의 모습. CCTV영상 촬영. 2024.12.24 /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은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회의장 공관으로 출동한 군인들이 포착된 공관 폐쇄회로(CC)TV를 공개했다. 왼쪽부터 01시 42분 국회의장 공관 담벼락 외곽을 걸어가는 계엄군, 01시 50분 국회의장 공관 정문에 집결한 계엄군. 04시 45분 국무회의를 통해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 15분 경과 후 철수하는 계엄군의 모습. CCTV영상 촬영. 2024.12.24 /

12.3 내란 사태 이후 언론을 통해서 제기돼 왔던 체포조 의혹에 대해 국회 사무처가 한남동 우원식 국회의장 공관 주변 CCTV를 공개하고 국방부에 사실 관계 확인을 촉구했다.

김민기 국회사무총장은 2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장 공관 주변 계엄군 투입이 명백히 확인됐다”며 “국회의장 체포 및 2차 계엄 정황에 대한 명확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회 사무처가 이날 공개한 영상에는 지난 3일 계엄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의결 이후인 4일 오전 1시 50분부터 오전 4시 45분까지 계엄군 10여명이 공관 정문에 집결하고, 공관 담벼락 외곽을 걷고 있는 모습이 담겼다.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 의결은 4일 오전 1시분쯤이고, 국무회의에서 비상계엄이 해제된 오전 4시30분 이후 15분이 지난 시점까지도 현장에 계엄군들이 철수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다른 영상에는 패딩을 입은 사복 차림 모습의 2명도 포착됐는데, 국회사무처는 이들이 계엄군을 이끄는 인물인지, 방첩사령부, 정보사령부 소속 군인인지 소속과 정체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김민기 사무총장은 “영상에 등장하는 13인 모두의 소속과 관등성명, 명령자 및 지휘 요청에 대해 국방부의 합당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면서 “의장 공관 주변에 출동한 병력과 무장 수준은 어느 정도였는지 역시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사 당국에도 “영상을 통해 의장 공관 병력 출동이 확인된만큼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영상 속에서는 군인들의 무장 수준까지는 식별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김민기 사무총장은 기자들에게 “지난 22일 국방부에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한 자료를 요청했지만 현재(24일)까지 답변을 문서 등으로 받지는 못했다”며 거듭 국방부의 신속한 설명을 촉구했다.

아울러 국회 사무처는 계엄 당시인 3일과 4일 이전에도 공관 주변에 계엄군들의 사전 모의 또는 의심 정황이 있는 지 등도 파악에 들어갔다. 다만 CCTV 자료가 방대해 시일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