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경기도 ‘지원 우선’ 공감대
당초 계획보다 3년 6개월 앞당겨
‘팹 1호기’ 가동 맞춰 인프라 확충
단지 완성땐 400조 생산유발 효과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단지인 용인 국가산업단지가 당초 계획보다 3년6개월 앞당겨 2026년 12월 착공된다.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패권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무엇보다 중요한 ‘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정부와 경기도가 지원에 나선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26일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국토교통부, 경기도, 용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삼성전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사업시행자와 입주기업 간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대한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통상 4년 이상 소요되는 후보지 선정에서 산단 지정까지의 시간을 1년 9개월로 줄인 데 이어 내년부터 신속한 보상을 통해 착공 시기도 당초 2030년 6월에서 2026년 12월로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2030년 반도체 생산공장(팹·fab) 1호기 가동에 맞춰 도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는 한편 국가산단과 배후주거지를 통합 개발해 산업중심 복합도시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용인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팹 6기와 발전소 3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기업 60개 이상 등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이다. 전체 단지 준공 시까지 최대 360조원에 이르는 민간 투자가 이뤄져 160만명의 고용과 400조원의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승인 일정이 단축되면서 2026년 12월 이전 부지를 착공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됐다.
계획대로 2026년 말께 착공하면 후보지 발표부터 착공까지 기간이 3년 6개월로, 당초 예상(7년)보다 절반으로 단축되는 셈이다.
반도체 산업 특성상 기한을 앞당기는 것이 ‘돈’ 보다 중요한 ‘지원’이라는 인식을 같이 해서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경기도와 국토부 등 관계기관이 힘을 합쳐 현명하게 대응했기 때문에 계획보다 빠르게 용인 국가산단의 승인이 이뤄졌다. 또한 지난 40년간 지속됐던 송탄상수원보호구역 규제와 상·하류 지자체 간의 갈등도 함께 해결됐다”며 “최근 반도체 산업의 위기설이 나오고 있지만 경기도가 중심이 되어 위기를 극복하고, 도약의 기회로 바꾸겠다”고 말했다. → 위치도 참조

/신지영·이영지기자 sj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