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왕시의회와 과천시의회가 최근 주요 사회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신설 및 현대화사업 등의 추진에 대한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고자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와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를 찾았다.
30일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7일 노선희 의원과 박혜숙 의원은 과천시의회 황선희 부의장과 함께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일대에 위치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와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등을 각각 방문했다.
현재 의왕의 경우 자체 소각시설이 마련돼 있지 않아 생활폐기물을 군포와 과천시 일원의 소각장과 수도권매립지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2021년 7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수도권은 오는 2026년부터 쓰레기 직매립 금지를 시행하게 되며 주변 지자체의 광역소각장 협약 물량이 감소하면서 지역 내 자체 폐기물처리시설(소각장) 건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시는 하루 100t 규모의 소각시설을 오는 2030년까지 완공하겠다는 의지로, 부지 선정 절차를 밟고 있다. 노선희 시의원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주민과 공존하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모범 사례”라며 “우리 시도 주민과 상생하며 안정적이며 친환경적인 폐기물 처리를 위한 소각시설을 조성할 것이며 시민참여를 통한 원활한 부지선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
박혜숙 시의원은 “소각시설은 필수적이지만 주민 신뢰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제주의 성공 사례를 참고해 주민 편익시설을 포함한 상생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과천은 현재 자원정화센터의 현대화 사업을 착수하고 있다. 기존 소각시설의 처리 용량을 20t 늘린 100t으로 확대하면서 음식물 처리시설과 재활용 선별시설을 확충해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황선희 부의장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는 폐기물 처리시설이 지역 주민과 공존하며 경제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과천시도 현대화 사업을 통해 주민 편익시설을 포함한 상생 방안을 구체화해 친환경 도시로 나아가겠다”고 피력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