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망 배제 논란 속 도민청원 답변
GTX 플러스 포함 3개 선정, 정부 요구
가능한 방안 총동원해 계획 추진 강조

경기도가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우선순위 사업에서 배척했다는 논란(12월 6일자 3면 보도)과 관련,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GTX플러스 노선만 우선순위 사업으로 선정했다는 일각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지난 6일 경기도민청원 답변을 통해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인구와 교통수요 분석을 기반으로 사업성과 국토균형발전 등 정책적 고려를 종합해 이뤄진다”며 “도는 이번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도 시군에서 건의한 모든 사업을 지난해 2월과 5월 두차례에 걸쳐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속·일반철도 신규사업 11개, 광역철도 신규사업 29개 등 총 40개 사업을 건의했다”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이 이뤄지는 광역지자체임을 고려해, 모든 사업에 대한 적극 검토와 반영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우선순위 3개 사업 선정은 정부의 요구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해 6월 정부는 갑자기 전국 17개 지자체에 기존 건의한 고속·일반·광역철도 전체 사업 중 일괄적으로 우선순위 3개 사업 목록 제출을 요구했다. 이는 철도사업에 대한 몰이해이자 명백한 국가 철도 정책의 후퇴”라며 “부당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도는 교통복지와 균형발전을 최우선으로 신중하고 전략적인 논의를 거쳐 3개 사업목록을 제출했다”고 말했다.
또한 김 지사는 “우선순위 3개 사업을 요구할 당시, 국토교통부는 2024년 5월까지 접수한 모든 고속·일반·광역철도에 대한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도에 밝힌 바 있다”며 “그러나 이후 일부 지자체와 정치권 일각에서 ‘지자체에서 제출한 우선순위 사업 3개만 검토하고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한다’는 왜곡된 정보로 불필요한 분란을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상일 용인특례시장과 신상진 성남시장은 경기도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최우선 순위로 GTX플러스 3개 사업을 국토부에 건의했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은 배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GTX플러스 3개 노선(GTX G·H노선 신설, C노선 연장)이 김 지사의 공약 사업이기 때문에 다른 사업보다 우선시했다는 것이다.
이에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에 힘써달라”는 도민청원이 올라와 1만444명이 서명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도는 경기남부광역철도의 필요성에 대해 누구보다 깊게 공감하고 있다”며 “도는 국회 및 각 시군과의 협력 등 모든 가능한 방안을 총동원해 경기남부광역철도 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청원인의 소중한 의견은, 경기남부광역철도의 실현으로 완성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