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성심병원 김종완 교수 연구결과
일반그룹과 수술 예후 비교… 더 악화
장시간·수혈률 커지며 신체 내 부담 ↑

복강경수술이 부적합한 환자가 무리해서 복강경수술을 받다 개복수술로 전환하게 되면 합병증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외과 김종완 교수 연구팀은 ‘비전이성 대장암의 복강경수술에서 개복수술 전환에 따른 종양학적 결과 비교 및 위험요인 분석’ 연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1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한림대의료원 산하병원에서 대장암 복강경수술을 받은 그룹과 개복수술로 전환한 그룹의 수술예후와 개복수술 전환의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이 기간 총 2천231명이 대장암 복강경수술을 받았고, 이 중 4.5%인 100명의 환자는 개복수술로 전환했다.
개복수술로의 전환 이유는 복강 내 유착이 36%로 가장 많았고, 종양의 인접 장기 또는 조직 침습 23%, 종양 크기 13%, 환자의 해부학적 문제 12% 순이었다.
수술 예후는 개복수술 전환그룹이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강경수술 그룹과 개복수술 전환그룹의 전체 합병증 발생률은 7.6% 대 14%로, 전환그룹이 1.8배가량 높았다. 3~4등급 중증 합병증 발생률은 46.6% 대 71.4%로 전환그룹이 1.5배 높았고, 수술 후 5년 무재발 생존율은 75.7% 대 61.6%였다.
또 복강경수술 그룹과 개복수술 전환그룹은 평균 수술시간이 235분 대 255분, 수술 중 수혈률은 4% 대 12%, 종양의 크기는 4㎝ 대 5.4㎝, 종양 침범 림프절의 수는 20.9대 24로 개복수술 전환그룹이 컸다. 복강경수술 중 개복수술로 전환하게 되는 위험요인은 대장이 완전히 막히는 장폐색, 복부수술 병력, 종양이 장막층이나 주변 장기에 침범한 T4병기 등으로 분석됐다.
김종원 교수는 “개복수술로 전환하면서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수혈률이 높아져 신체 내 생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세포의 면역체계와 항암효과가 억제돼 종양학적 결과가 나빠지게 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집도의는 대장암 복강경수술 전 위험요인을 충분히 평가해 최적의 수술방식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대장암 복강경 수술 중 개복수술로 전환되는 비율은 최대 23.5%에 달하며, 복강경수술에서 개복수술로의 전환 자체가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라며 “개복수술로의 전환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수술방식을 전환해야 다른 위험요인을 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