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경찰서, 입건전 조사 단계

목숨 구했지만 중증외상자 분류

고용부 “조사 계획 없어” 관망만

파주의 한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 내에서 작업자가 추락한 사고와 관련해 현장 안전시설물 설치가 미흡했다는 지적에도 노동·수사 당국이 뒷짐 진 행태를 보여 논란(1월3일자 5면 보도)이 된 가운데, 경찰이 뒤늦은 조사에 착수했다. 하지만 정작 노동 당국은 중대재해조사 요건을 운운하며 여전히 발을 빼고 있다.

38층서 떨어져 구사일생했는데… 조사 없이 무사안일한 노동·수사당국

38층서 떨어져 구사일생했는데… 조사 없이 무사안일한 노동·수사당국

체하던 중 38층에서 추락한 작업자가 22층 안전망에 걸려 목숨을 건졌으나(2024년 12월20일자 5면 보도), 당시 사고 현장 내 안전시설물 설치 규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하지만 노동·수사 당국은 사고에 대한 추가 조사에
https://www.kyeongin.com/article/1724932

파주경찰서는 이번 사고 관련 입건 전 조사 단계에 있다고 12일 밝혔다. 경찰은 향후 당시 부상을 입은 작업자와 일정을 조율해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30대 작업자 A씨는 사고 당시 엘리베이터 피트(PIT)에서 추락방호망을 해체하던 중 아래로 추락했다. 당초 다리 골절상 등의 부상 외에 심각한 외상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A씨는 실제 부상 정도가 심각한 중증외상환자로 분류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A씨는 분쇄 복합 골절, 신장·간·비장·뇌 손상 등으로 인해 당시 의정부성모병원 권역외상센터로 옮겨져 응급 수술을 받고 이후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았다. 8일만인 지난달 24일 의식을 회복했으며 지난 8일 퇴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정부성모병원 관계자는 “미국 외과 학회에서도 3m 이상에서 추락한 경우 외상센터에서 우선 진료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었던 큰 사안임에도 노동 당국은 중대재해조사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다는 이유만 앞세우며 여전히 관망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고양지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조사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조사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 관계자는 “(추락 원인은) 확인 중”이라며 “피해 경위는 우선 피해자 진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치료 후 피해자를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