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자원화 본격전환 계기 마련
지역 거점별 공동퇴비화시설 보급, 산업 연계 등 추진
경기도가 가축분뇨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친환경 농업 실현을 위해 ‘가축분뇨 자원순환 활성화 기본계획(2025년~2029년)’을 수립했다.
경기도는 가축분뇨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14개 실천과제를 제시하고 5년간 1천72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축산업은 도시화와 산업화로 분뇨처리 시설 부족, 악취 민원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고 농경지 감소로 인해 가축분뇨를 퇴비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는 친환경 과학순환농업 확대를 목표로 지원 정책을 마련했다.
친환경 과학순환농업이란 축산농가에서 생산된 가축분뇨를 고품질 퇴비로 만들어 농경지에 환원하고, 농경지에서 생산된 볏짚과 농업 부산물을 다시 사료로 활용하는 순환농업이다.
기본계획 주요 내용으로 도는 ▲친환경 과학순환농업 활성화, ▲가축분뇨 자원순환 방식의 다양화, ▲가축분뇨의 인식 긍정화 등 3개 분야에 대해 8대 전략, 14개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도는 친환경 과학순환농업 활성화를 위해 지역 거점별 공동퇴비화시설 보급, 퇴비유통전문조직 육성 및 활성화, 고품질 퇴비 생산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도는 가축분뇨 자원순환 방식의 다양화를 위해 바이오가스·고체연료화 등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지원, 바이오차 등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타 산업과의 연계를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가축분뇨의 인식 긍정화를 위해 축산·농정·농업기술 관련 유관기관 협업을 강화하고 에너지화시설이 설치된 지역사회에 주민상생 지원방안을 마련해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도는 지난 2023년부터 전국 최초로 퇴비살포 농지에 대한 토지 경운비용을 지원했으며 가축분뇨 악취 매니저 운영을 통해 축산농가의 퇴비 및 악취 관리를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일반도시민의 부정적 인식개선을 위해 참여형 악취저감 교육도 진행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해 1만2천톤의 퇴비가 1천40㏊ 농지에 환원됐고 악취관련 민원이 전년 대비 18%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강영 경기도 축산동물복지국장은 “기본계획 수립을 계기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가축분뇨 자원순환을 추진하게 됐다”며 “경기도의 농축산업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선기자 ze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