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관내·광역 이동 모두 미흡

인천시 미추홀구 문학경기장 차고지에 주차돼 있는 장애인 콜택시. /경인일보DB
인천시 미추홀구 문학경기장 차고지에 주차돼 있는 장애인 콜택시. /경인일보DB

인천과 수도권을 오가는 특별교통수단 운영 효율을 높이려면,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이원화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16일 이러한 내용의 ‘특별교통수단 수도권 광역이동 서비스 개선 방안’ 결과보고서를 공개했다. 특별교통수단은 교통약자(장애인, 일시적 휠체어 이용자 등)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휠체어 탑승 설비 등을 장착한 차량을 말한다.

인천의 경우 2023년 5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으로 특별교통수단 운행 지역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장됐다. 인천시는 그해 12월 서울시·경기도와 ‘특별교통수단 수도권 광역이동 공동운영기준안’을 마련해 지난해 6월까지 광역이동 서비스 시범운영을 했다.

인천연구원은 시범운영 결과 한정된 특별교통수단 운행차량으로 관내·광역이동 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다 보니, 오히려 두 서비스 모두 미흡했다고 봤다. 2023년 기준 인천지역 특별교통수단 차량은 총 215대인데, 인천시는 그해 12월 이 중 10대(4.65%)를 광역이동 차량으로 지정했다. 자연히 관내이동 담당 차량은 205대(95.35%)로 줄었다.

하지만 시범운영(6개월) 기간 인천지역 특별교통수단 총 운행 건수(16만7천130건) 중 광역이동은 2천427건(1.5%)에 그쳤다. 특히 관내 이동 차량당 하루 평균 운행 건수(4.2건)는 광역이동(1.3건)에 비해 3.2배 많은데, 한정된 차량 대수를 광역이동 서비스에 지속 분배하면 관내 이동 서비스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인천연구원은 분석했다.

인천연구원은 서비스를 단순히 관내·광역이 아닌, 구체적인 이용 목적과 차량 이동 범위를 고려해 ‘기본’과 ‘프리미엄’ 서비스로 구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적 차량 배분이 필요하다고 봤다. 수도권 직행은 프리미엄, 광역이동이어도 환승 연계가 가능하면 각 지역 기본 서비스 차량으로 운행하는 식이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