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 위기의식 반영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인천시의원들이 중앙정치에서 촉발한 여야 갈등을 멈추고, 시민을 위한 의회로 돌아가기로 뜻을 모았다. 최근 당내에서조차 민심을 살피지 못해 지지율이 하락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번지자, 먼저 민생을 챙겨야 한다는 위기의식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시의원들은 20일 “우리 의원들은 입법부이자, 15조 원이 넘는 시민 혈세(예산안) 심의·집행을 견제하는 중요한 권한을 시민들에게 부여받았다”며 “지금까지 없었던 인천시의회 여야 대립 상황에 유감을 표하고, 하루빨리 인천시민이 원하는 의회의 모습을 되찾아 가도록 힘쓰겠다”고 입장문을 냈다.

최근 인천시의회는 전에 없던 냉각기를 겪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 직후 유정복 인천시장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야당 심판’을 언급하자, 지난달 17일 민주당 시의원들이 시장실에 항의 방문하며 소란이 빚어졌다. 곧바로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이 “중앙당 입장만을 대변하는 야당 시의원들과 협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상황이 악화했다.

‘냉전 상태’로 해를 넘긴 인천시의회가 다시 협치를 논의한 건 최근 일이다. 여기엔 중앙정치 현안이 지역 민생을 챙기는 일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민주당의 경우 한 달 새 지지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 민주당 인천시당 등 지역에선 민생을 외면하면 야당도 언제든 심판하겠다는 국민의 ‘경고’로 받아들이는 분위기(1월18일 인터넷 보도)다.

김명주(서구6) 민주당 원내대표는 “지금 중앙정치가 양극화돼서 갈등하고 있는데 지방정치까지 민생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그는 “지방의회가 협치하지 못하면 각종 조례나 예산안 심의 부분에서 시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며 “빠르게 갈등을 해소해 의회 본연의 활동에 전념하고자 입장을 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임춘원(남동구1)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그동안 의장단이 만나 의회가 갈등을 풀고 민생을 위해 나아가야 한다고 의견을 교환했다”며 “민주당 시의원들이 입장을 표명한 만큼 우리도 협치 의지를 존중하기로 합의했고, 앞으로도 함께 지역을 위한 활동에 힘쓸 예정”이라고 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