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은 지난해 전국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도시다.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 데이터를 보면 인천에 들어온 인구가 인천을 떠난 인구보다 2만5천600명 많았다.
저출생으로 인구가 자연 증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꾸준히 사람이 모인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도시 경쟁력이 있고 살 만한 환경이 갖춰졌다는 의미다. 그러나 새롭게 유입된 이들이 ‘인천 사람’으로 살아갈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순유입한 2만5천600명 중 70%는 전입 사유에 대해 ‘주택’이라고 답했다. 치솟는 집값을 감당하기 어려워 늘어나는 출퇴근 시간을 감수하고서라도 서울 밖으로 이사를 결정한 셈이다. 인구가 늘어나면 지역 내 생산·소비활동도 같이 늘어야 하지만, 평일 일과시간에 인천 밖에 머무는 이들이 많다는 건 인구 증가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 하나 주목할 통계는 ‘청년 실업률’이다. 인천의 15~29세 청년 인구의 실업률은 지난해 4분기 기준 6.4%를 기록해 전체 실업률(3.3%)의 2배에 근접했다. 고임금·사무직·높은 복지 수준 등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와 인천에서 공급되는 일자리 간 미스매치가 벌어진 결과다.
이들은 더 나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오랫동안 취업을 준비하는 방향을 택했다. 인천에서 나고 자랐어도 자신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찾아 서울이나 경기 등 다른 지역으로 떠날 고민을 하는 세대다.
인천의 인구는 정확히 1년 전 300만명을 돌파했다. 오는 2027년께 정점을 기록할 거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집값을 찾아온 인구는 자산 가치의 변화나 부동산 경기의 등락에 따라 언제든 이탈할 수 있다. 여기에 더 좋은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들도 하나둘 인천을 벗어나면, 장기적으로 지역 내에서 경제활동을 할 인구가 줄고 자연히 도시경쟁력도 약화할 테다. ‘인구 증가 1위’ 타이틀의 이면에 드리운 그림자다.
/한달수 인천본사 정치부 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