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 흘러도 ‘그날’에 갇혔다면 ‘날’ 돌 볼 차례
인명구조에 우선순위 밀려 ‘관리’ 등한시
긴장·불안·두근거림 증가 증상 중 일부분
국립정신건강센터 ‘마음 앱’ 회복에 도움
![](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4/news-p.v1.20250204.63feb7c19aa24e7eba67ec9a96b8fb3f_P2.webp)
대형 참사가 발생할 때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이 말하는 ‘트라우마’ 증상은 무엇이고 치료 적기는 언제일까.
트라우마는 정신적인 외상을 뜻한다. 이병철 한림대한강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트라우마를 의학적으로 진단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라며 “월남전에 참전하거나 이를 가까이서 겪은 이들이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의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일종의 후유증을 앓는 것이라는 결과가 나와 진단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라우마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보통은 트라우마를 겪은 때와 유사한 상황에 처하면 몸이 긴장하거나 불안감이 높아진다. 크게 놀라거나 두근거림이 생기는 것도 증상 중 하나다.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우울감을 느끼고 수면 패턴이 변화하는 등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트라우마를 겪는 상황을 피할 수 있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의 문제인 일상 속 트라우마와 달리 재난에 의한 트라우마 치료가 쉽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재난은 예측 불가능한 때에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환경에서도 트라우마로 인한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전문가를 찾는 편이 좋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그 기한을 한달이라고 본다. 김태원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한달 정도 지나면 70~80%는 트라우마 증상이 서서히 없어지는데 그렇지 않다면 치료가 필요한 경우”라고 말했다. 이 교수도 “치료 시기를 놓치면 장기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을 보탰다.
대형참사로 인한 트라우마를 겪는 이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건 관계인들은 트라우마를 겪더라도 적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김 교수는 “참사가 발생하면 목숨을 구하는 게 우선시되기 때문에 트라우마 등 정신건강학적인 접근이 후순위로 밀린다”며 “의료진의 인력적인 한계로 인해 대형참사를 겪은 당사자와 사건 관계인들에 대한 개개인별 맞춤 치료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짚었다.
이 교수도 “한국은 재난트라우마를 겪는 이들은 정신적으로 나약하다고 보는 경향이 있는데, 그런 경우가 아니다”라며 “국가에서 이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https://wimg.kyeongin.com/news/cms/2025/02/04/news-p.v1.20250204.0c8a03a4d2cf4433b65a7a9e3134b4f5_P3.webp)
※국립정신건강센터 ‘마음프로그램 앱’을 아시나요?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운영하는 앱으로, 트라우마로부터 회복을 돕는 다양한 안정화 기법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