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탄핵심판 5차 변론 출석
계엄때 ‘의원 체포 의혹’ 부인
이진우·여인형, 국회 답변 거부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에 출석해 “선관위에 병력을 보내라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내가 직접 지시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4일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이같이 말하며 “엉터리 투표지 많아서 (병력을 투입했다)”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의원을 체포하고 끌어내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사건을 보면은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뭐 지시를 했니, 받았니, 뭐 이런 얘기들이 마치 그 어떤 호수 위에 떠있는 달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았다. 나중에 철수 지시가 이뤄졌는데 (국회의원 체포 등) 그게 과연 상식적으로 가능한 일인지 (모르겠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 등 비상계엄사태 관련 주요 인물들도 증인으로 출석했지만, 국회 측 질문에 대해선 대부분 답변을 거부했다.
이 전 사령관은 윤 대통령의 전화 지시와 관련한 국회 측 질문에 대해 “저도 형사소송에 관련돼 있고 검찰 조서에 대한 증거 인부(인정 또는 부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엄중하고 중요한 상황임을 알지만 (답변이) 상당히 제한되는 점을 양해해 달라”며 “답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여인형 전 사령관도 “비상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 14명에 대한 명단을 받은 적 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형사 재판에 관한 사항이라 자세히 진술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조지호(경찰청장)에게 체포명단을 알려줬다. (조 청장과 저의) 기억은 일부 다르다”고 했다.
한편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돼 재판에 넘겨진 윤 대통령은 이날 사건을 심리하는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에 구속 취소를 청구했다.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구속 취소 청구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취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고건·정의종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