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당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전화한 것은 계엄과 무관한 통화였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한 전화를 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도와달라는 요청과 함께 구체적인 명단을 들었고, 이를 메모지에 받아적었다고 증언한바 있어 그 증언을 반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4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헌법재판관들의 이해 편의를 위해서 설명을 좀 드리겠다”고 발언권을 얻어 당시 전화 통화한 상황과 내용을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검거 요청 논란에 대해 “먼저 국정원은 수사권도 검거권도 없다”며 “ 그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첫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한 것이라고 상황을 먼저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와관련, 윤 대통령은 “처음 전화 했을 때 안 받았고, 전화가 와서 딱 보니, 식사와 반주를 좀 한 것 같아 당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전화는 비상계엄을 위한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온 것을 보고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는 것을 안 뒤 계엄 선포 대국민담화를 하고서 오후 11시가 다 되어서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두번째 전화에 대해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해야겠다고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차장의 메모장에 검거요청 논란에 대해서도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아울러 “탄핵부터 내란 몰이, 이런 모든 프로세스가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12월 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한테 넘어가면서 시작된 것”이라며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증인신문 이후 기자들에게 “조태용 원장이 얘기하는 것과 똑같다. (윤 대통령이) 처음부터 그렇게 생각하신 걸까”고 반문하면서 “한창 비상계엄 관련된 국무회의가 진행 중이고 수방사(수도방위사령부), 특전사(특수전사령부)가 막 난리를 치는데 예전에 해외 한번 나갔다 왔던 1차장한테 격려차 전화를 하신다, 그 시간에?”라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대해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5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홍장원 전 차장은 ‘싹 다 잡아들이라’는 윤석열의 지시를 재차 확인했다”며 “체포를 지시한 적 없다는 윤석열의 거짓말을 조목조목 반박했다”고 주장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