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0가구 중 3가구는 1인가구
총 9천615억원 투입

경기도내 10가구 중 3가구가 1인가구일만큼 혼자 사는 도민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생활꿀팁’ 강의 및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 등 정책으로 1인가구를 지원한다.
경기도는 외로움, 안전·건강, 주거, 추진체계 등 4개 분야에서 41개 과제로 ‘2025년 경기도 1인가구 지원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도내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1.2%(171만가구)에 달한다. 이는 전년대비 약 8만가구 증가한 수치다.
경기도에는 전국 1인가구(783만가구)의 21.9%가 거주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경기도는 총 9천615억원(국비 7천865억 원·도비 852억 원·시군비 898억 원)을 투입해 시행계획을 마련했다.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올해 처음인 ‘1인가구 생활꿀팁 바구니’가 있다. 1인가구에게 필요한 빨래, 청소, 정리수납 등에 관한 생활꿀팁 강의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또한, ‘경기도 1인가구 기회밥상’을 통해 식생활 관련 체험 및 소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정부의 취약·위기가족 지원사업인 ‘온가족보듬사업’의 1인가구 교육·문화 프로그램으로 1인가구의 정서·경제적 자립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1인가구 자유주제 제안사업’은 지난해 12개 시군에서 올해 22개 시군으로 확대된다. 도내 지역 특성을 반영해 공동텃밭 활용, 반려동식물 프로그램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1인가구의 병원 동행과 접수·수납 등을 지원하는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도 지난 2023년 5개 시군에서 시작해 올해는 안성시 등 11개 시군으로 확대된다.
특히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동행지원 3천837건, 유사서비스 연계 189건, 상담 4천471건을 진행했을 정도로 호응이 좋았던 정책이다.
이밖에도 도는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 ‘365 안부확인 AI케어’ 등 1인가구 맞춤 정책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윤영미 도 여성가족국장은 “이번 시행계획은 1인가구가 정책을 체감할 수 있도록 각 영역별 사업 확대에 중점을 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더욱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세한 1인가구 관련 정책은 ‘경기도 1인가구 포털(www.gg.go.kr/1ingg)’을 통해 지역별, 연령별, 영역별 맞춤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