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 ‘악성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9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인천은 인구 증가, 서울과 접근성 향상 등으로 대규모 공공·민간 아파트 공급이 예정돼 있는데, 주택시장 냉각기가 지속되면 물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9일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인천 미분양 주택은 3천86가구로 이 중 악성 미분양은 1천546가구다. 인천의 악성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최근 9년(2016~2024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 표 참조
지역별로는 서구가 1천146가구로 가장 많았고, 이어 미추홀구(188가구), 서구(138가구), 중구(42가구), 강화군(21가구), 남동구(11가구) 순이다.
인천 미분양 아파트 시행사는 남은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계약자의 비용 부담을 낮춰주는 등 여러 혜택을 내걸고 있지만, 얼어붙은 매수 심리를 움직이기엔 역부족이라는 게 현장 얘기다. 일부 구도심 아파트의 경우 서울과 연결되는 역세권 입지와 풍부한 교육·상업 인프라를 갖췄지만, 전체 입주 물량 약 500가구 중 절반 이상이 계약자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인천 중구의 한 미분양 아파트 영업·판매를 맡는 분양상담사 조모(32)씨는 “발코니 확장, 시스템 에어컨 4대 설치 등 옵션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중도금 무이자 등을 제시하고 있다”며 “수인분당선 역과 가깝지만, 선뜻 계약을 하겠다는 손님이 없어서 분양사무소를 몇 달 더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수도권인 인천에 미분양 아파트가 늘었다는 것은 분양가 상승, 대출 부담 증가로 인해 매수 심리가 위축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에 인구 감소, 입지 문제와 맞닿아 있는 대구 등 비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발생 원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셈이다.
인천의 아파트 매수 심리 위축이 지속되면 향후 예정된 대규모 물량 공급 시 수요 불일치로 인한 부작용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인천은 내년 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에 입주하는 1만7천가구를 포함해 5만여 가구의 주택 공급이 예정돼있다. 2029년에는 남동구·연수구·미추홀구에 1만8천가구를 공급하는 구월2 공공주택지구 조성이 이뤄진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이 회복하려면 금리 완화, 주택 가격 안정화, 건설업계 활성화 등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단기간 이 같은 지표가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진단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인천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기도도 신도시 조성 등 대규모 공급이 예정돼 있어서 일부를 제외하고는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며 “수도권 부동산 매수 심리가 회복하더라도 인천은 서울 강북 등 타 지역보다 늦게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향후 3년간은 공급 과잉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현주기자 p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