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경기도 민영주택 공급 2건에 그쳐

공급 비수기 2023년보다 심한 수준

조기 대선 가능성 등 정국 불안정 영향

오른 전셋값이 매매가 끌어올릴 우려

지난달 경기도에서 모집공고를 낸 민간아파트 분양물량이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0일 오후 수원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 2025.2.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지난달 경기도에서 모집공고를 낸 민간아파트 분양물량이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0일 오후 수원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 2025.2.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경기도 분양시장이 새해부터 꽁꽁 얼어붙었다. 지난달 경기도에서 모집공고를 낸 민간아파트 분양물량이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한 국내·외 정치·경제 상황에 분양 공급 위축이 장기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보면 지난달 1일부터 31일까지 도내에서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민간아파트는 총 5곳, 2천117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고양 창릉지구 공공분양주택과 신혼희망타운 본청약을 제외한 민영주택 공급은 2곳, 325가구에 그친다. 1월 분양 중 80% 이상이 국민주택 물량이다.

1년 전과 비교해도 분양 물량 자체가 줄었다. 지난해 1월 도내에서 입주자모집공고를 낸 단지는 총 4곳, 2천99가구였다. 민영주택 물량만 보면 전년 동월 대비 84.5% 가량 급감했다.

통상 1월은 분양시장에서 비수기로 꼽히지만, 올해는 유독 물량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국토교통부 주택건설 분양실적을 보면 경기도 분양물량은 ▲2021년 1월 4천314건 ▲2022년 1월 8천172건 ▲2023년 1월 713건 ▲2024년 1월 2천99건 등이다. 부동산 경기가 하락세로 치닫던 2023년 이후 분양이 가장 적다.

2월 역시 분위기가 밝지는 않다. 국내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2월 경기도 분양예정 물량이 2천71가구라고 밝혔다. 2월이 10일 가량 지났지만 현재 청약홈에 올라온 모집공고는 1건이다. 이마저도 우선 분양전환 후 잔여세대 39가구 공급으로 물량 자체가 적다.

분양 물량 감소는 입주 절벽 심화, 전세 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세가가 매매가를 끌어올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2025.2.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분양 물량 감소는 입주 절벽 심화, 전세 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세가가 매매가를 끌어올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2025.2.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등 국내 정치·경제 불확실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는 대선 가능성을 지켜본 후 사업성이 우수한 지역 위주로 서서히 분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선은 분양 시장에 악재로 작용한다. 선거가 확정되면 분양 홍보 자체가 어렵다”라며 “지금 건설자재·인건비 상승 등 업황도 좋지 않고, 청약 수요가 줄었다. 검증된 사업지 위주로 분양 계획을 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향후 분양 물량을 짐작할 수 있는 주택 인·허가 물량도 줄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누계 민간부문 주택 인·허가 건수는 7만7천946가구로 전년 동월(8만8천613건) 대비 12% 감소했다. 대개 인허가 이후 1~2년 이내 착공하고 그 다음 분양에 돌입한다. 인허가 물량이 줄어든 만큼 향후 분양 물량 감소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이다.

분양 물량 감소는 입주 절벽 심화, 전세 가격 상승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분양 물량 감소는 최소 1~2년의 시차를 두고 시장에 적용된다. 주택 공급 감소로 입주 물량이 줄어들면, 입주자 역시 감소해 전셋값이 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세가가 매매가를 끌어올리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정국이 안정돼야 분양 시장에도 다시 활기가 생길 것으로 진단한다. 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을 맡고 있는 서진형 광운대학교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 속) 주택공급에 관한 택지,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대책 등이 보다 분명하게 나와야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정국이 안정돼야 가능하다”며 “정부에서 지역별, 시기별로 공급이 안정적으로 될 수 있는 정책을 펼쳐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