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비명 갈등 속 28일 회동

정치개혁 한목소리 낼지 주목

지난해 11월 21일 오전 수원시 팔달구 못골종합시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상인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4.11.2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지난해 11월 21일 오전 수원시 팔달구 못골종합시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상인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4.11.21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야권의 ‘플랜 B’로 불리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플랜 A’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만난다.

조기 대선 가능성에 친명계와 비명계의 갈등이 불거지는 과정 속에 두 사람이 어떤 메시지를 낼지 주목된다.

경기도는 19일 “김 지사와 이 대표가 오는 28일 오후 4시께 회동한다”며 “장소는 미정이고, 추후 공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민주당 일극체제라는 비판에 맞서 비명계 통합을 시도하고 있는 이 대표 행보의 일환이다.

이 대표는 지난 13일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의 회동을 시작으로, 줄줄이 비명계 인사들과 회동 일정을 잡고 있다.

오는 21일 박용진 전 의원, 24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 27일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을 만날 예정이다.

김 지사와 이 대표의 만남에 더욱 눈길이 쏠리는 이유는 김 지사가 비명계 주자중 이 대표를 견제하는 선두주자여서다.

특히 김 지사는 연일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에 제동을 걸고 있다.

이 대표가 주장하는 ‘전 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서는 보편 지급이 아니라 선별 지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이 대표가 언급한 실용주의와 관련해서도 “실용주의가 민주당의 목표이자 가치가 될 수는 없다. 민주당이 추구하는 가치와 철학은 정체성을 분명히 유지해야 한다”고 견제 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 사람이 정치개혁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가 회동 성과의 관건이다.

지난 대선에서 김 지사는 새로운물결을 창당하고 후보로 출마했는데,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이 대표와 ‘정치교체를 위한 공동선언’에 합의하며 단일화했다.

해당 공동선언에는 국민소환제 도입을 비롯해 연동형 비례대표제 등 선거제도 개혁, 국회의원 면책특권 폐지, 국회의원 3선 초과 연임금지 등을 위한 법안을 국회에 제출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이 대표는 지난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국민소환제를 다시 꺼내들어 관심을 끌었다. 사실상 이 대표의 대선 출마 공약집이라는 평을 받았던 연설이기에 국민소환제를 포함한 정치개혁 논의를 김 지사와의 논의 테이블에 다시 올릴 가능성도 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