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교육청 공식 블로그는 ‘인천5·3민주항쟁’을 이렇게 풀이한다. 지난해 5월 2일, 기념일을 하루 앞두고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린 글이다. ‘민주화 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는 제목 아래 ‘민주주의 서막이 열린 날’이라고 설명한다. ‘크고 무리한 것이 아닌 그저 우리의 손으로 우리의 대통령을 뽑는 선거의 권리와 투표를 되찾고자, 그리고 국민의 권리를 되찾고자’ 항쟁이 일어났다는 내용이다.

1986년 5월 3일, 인천 미추홀구 옛 시민회관 사거리에서 시민과 학생 등 5만여명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며 전두환 정권의 군부독재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많은 이들이 연행되고 구속돼 고초를 겪었다. 불과 한 달 뒤 전개된 ‘6월 항쟁’의 시발점이 됐음에도 오랜 시간 그 역사적 의미를 제대로 평가받질 못했다. 전두환 정권의 ‘좌경 폭력세력’ 규정에 의해 덧씌워진 부정적 이미지, 서울의 위성도시로만 인식되던 인천의 지역적 한계, 항쟁 주체와 지역사회의 관련 기록 및 연구 부족 등에 기인한다.

그 결과 겨우 지난해에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을 통해 2·28대구민주화운동, 3·8대전민주의거, 3·15의거, 4·19혁명, 부·마항쟁, 6·10항쟁과 동일한 법적 지위를 부여받게 됐다. 하지만 그 지위는 여전히 미완결의 상태다. 국가에 의해 공식적으로 그 지위를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지 않은 민주화운동으로 남아있다. 국가 차원의 기념식을 치르지 않는 단 하나의 민주화운동이다. 법적 지위를 확보한 지난해조차도 인천시민을 비롯한 국민을 대상으로 한 행사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환승통로에서 개최한 사진 전시회 정도였다.

올해 39주년 기념식도 정부가 주관하지 않는다고 한다. 인천만의 ‘조촐한’ 행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인천시가 직접 주관하는 것도 아니다. 시가 위탁한 인천민주화운동센터를 비롯한 일부 단체들이 기념행사를 주관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인천시가 정부에 국가기념일 지정을 건의할 계획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쟁의 현주소이고, 평가의 현 좌표다.

내년 40주년도 이렇게 맞을 것인가. 항쟁의 고유한 의미와 가치가 정당하게 평가받으려면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는 것이 급선무다. 그러려면 먼저 지역사회의 의지가 하나로 모아지고, 의지 실현을 위한 공통된 노력이 있어야 한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