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도내 시내버스 순차적 공공관리제 전환
버스 정시성 향상, 저상버스 보급률도 증가

지난해 1월부터 경기도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한 지 1년여가 지난 가운데,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민원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적용한 315개 노선 2천142대를 대상으로 시내버스 민원 발생건수, 교통사고 건수, 운행횟수 준수율 등을 조사한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경기도형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시내버스 공적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매년 안전관리·이용자 서비스 등 노선 단위 종합평가를 하고, 3년 단위로 공공관리제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다.
경기도는 지난달 기준 시내버스 339개 노선 2천255대를 공공관리제로 시행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1천649개 노선 6천187대를 모두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번 평가 결과를 보면 시내버스 교통사고가 2023년 1천70건에서 지난해 732건으로 32% 감소됐다.
또한, 국민신문고 등으로 접수된 시내버스 민원 발생건수도 27% 감소했다. 2023년 1천895건에서 지난해 1천392건으로 집계됐다.
도내 31개 시군에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으로 실시한 행정처분 건수도 2023년 404건에서 지난해 342건으로 15% 감소되는 등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 운전자 법규위반 행위가 감소됐다는 설명이다.
버스 노선 운영 분야에서는 버스 정시성이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운행횟수 준수율이 지난해 99%에 달하는 등 2023년(88%)보다 11%p 증가했으며, 막차 시간 준수율 또한 2023년 84%에서 지난해 89%로 5%p 증가했다.
차량 기반시설(인프라) 측면에서도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보급률이 2023년 36%에서 지난해 49%로 13%p 증가했으며, 평균 차령도 2023년 6.0년에서 지난해 5.7년으로 0.3년 감소하는 등 차량 노후화 문제가 개선됐다.
도는 이번 평가 결과 미흡사항에 대한 개선계획을 포함해 서비스 개선·재정 절감·노선 개편·공공성 확보 분야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로드맵(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박노극 도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 이후 시내버스 공적관리를 강화하면서 버스 서비스 질을 개선했다”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경기도와 시군의 많은 재정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운송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