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시의 캐릭터는 손 모양의 ‘부천핸썹(Bucheon Hands up)’이다. ‘풋 유어 핸즈 업(Put Your Hands Up·손을 올리세요)’을 빠르게 외치면 ‘부천핸썹’으로 들리는 데서 힌트를 얻었다. 애칭 ‘핸썹이’로 불린다. ‘핸썹이’의 좌우명은 ‘손바닥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이다. 실제로 부천에서는 시와 시민의 손바닥이 마주치듯이 복지연대가 활발하다. 지역 실정에 밝은 시민들이 어려운 이웃을 발견하면 관이 도움을 주는 상생 맞손이다.
“라면 한 개만 외상으로 주실 수 있나요.” 실직한 20대 청년의 SOS는 절박했다. 슈퍼마켓 주인장은 단골의 딱한 처지를 듣고 라면과 즉석밥 등 5만원 어치 생필품을 챙겨줬다. 몇 달 뒤에 청년은 취업에 성공했다. “덕분에 살아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꾹꾹 눌러쓴 손편지와 현금 20만원을 계산대에 놓고 갔다. 주인장은 현금을 정중히 사양하고, 감동만 고이 간직했다. 부천시 ‘온(溫)스토어’의 훈훈한 일화다.
‘온스토어’는 지난 2023년 6월 시작됐다. 동네 가게에서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발견해 물품을 먼저 전달하면, 기금에서 비용을 보전해 준다. 또 공무원이 찾아가 고충을 듣고 복지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기검침원과 집배원은 ‘온동네 발굴단’으로 동네를 누빈다. 위기가구를 발견하면 종합사회복지관의 복지전문가와 원팀으로 어려움을 해결한다. 지금까지 134개의 가게가 ‘온스토어’로 등록해 1천512명에게 약 9천200만원 상당의 물품을 지원했다. NH농협 부천시지부·인천가톨릭사회복지회·(사)함께하는 사랑밭도 힘을 보탰다. 1억3천600만원 규모의 현물과 현금이 차곡차곡 쌓였다.
온스토어·온동네 발굴단의 활동은 애플리케이션(APP) ‘부천 스마트 온(溫)’을 통해 이뤄진다. 앱을 실행하면 ‘핸썹이’가 반긴다. 복지요청·안전신고·스마트맵(Map)·커뮤니티 등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이웃은 물론 본인 스스로 복지도움을 신청할 수 있다. 내 주변의 온스토어와 복지시설의 위치도 확인 가능하다. 동네 소식을 공유하고, 화재나 교통 등 생활불편 신고도 손쉽다.
따뜻하고 촘촘하고 똑똑한 복지 시스템의 동력은 관·민연대이다. 이웃과 단절된 시대일수록 공동체의 연대는 더욱 절실하다. ‘온스토어’가 데운 공생의 열기로 부천은 따뜻하다.
/강희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