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인구동향조사 통계 결과

작년 출생아 전년보다 8300명 증가

‘최소한 0.6명대 추락 피했다’ 의의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수가 전년에 비해 3.6% 증가하며 9년만에 합계출산율이 반등했다. /경인일보DB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수가 전년에 비해 3.6% 증가하며 9년만에 합계출산율이 반등했다. /경인일보DB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천여명으로 1년새 8천명가량 늘었다.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 9년 만이다.

이에 0.7명대까지 추락한 합계출산율도 소폭 반등했다.

다만 세계에서 유일하게 1.0명을 밑도는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더는 떨어지기 어려운 수준까지 주저앉은데 따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6일 통계청의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천300명으로 전년보다 8천300명(3.6%) 증가했다.

출생아가 늘면서 ‘합계출산율’도 지난해 0.75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올랐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2023년 0.72명까지 8년 연속으로 추락한 바 있다.

유의미한 반등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0.6명대로 더 추락하는 상황은 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1.51명으로, 우리나라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출생통계 확정치는 오는 8월 공표된다.

대통령실은 이번 출생아 증가 통계 발표에 대해 “수요에 기반한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 것이 청년들의 저출생 정책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출산을 결심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자평했다.

유혜미 저출생대응수석비서관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확고한 추세 반전으로 이어가기 위해 올해도 효과가 검증된 정책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유 수석은 현 정부의 대표적 출산 장려 정책으로 ▲출산 가구 특별 주택공급 및 특례 대출 ▲부모 급여 신설 ▲보호출산제·출생통보제 시행 ▲기업의 출산 장려금 지급에 대한 비과세 혜택 부여 등을 꼽았다.

/강기정·정의종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