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출생율 전국 2위
전년대비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증가

지난해 전국 시·도 중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출생아가 태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 출생아 수는 7만1천300명으로 전국 출생아 수(23만8천300명)의 29.9%를 차지한다.
특히 경기도는 세종시에 이어 지난해 조출생율 2위를 차지했다. 조출생율은 인구 1천명당 태어난 아이의 수를 의미한다. 경기도 조출생율은 5.2명이고, 합계출산율은 0.79명이다.
경기도 출생아 수는 전년(2023년)보다도 2천483명 늘어났다. 합계출산율과 조출생율 또한 전년보다 각각 0.02명, 0.1명 늘어난 수치다.
시군별 합계출산율을 보면, 과천(1.03명)·화성(1.01명)·평택(1.00명) 등 19개 시군에서 합계출산율이 반등했다. 반면 동두천·부천(0.62명),구리(0.65명), 의정부(0.68명) 등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경기도는 저출생 문제 대응을 위해 출산·양육 뿐 아니라 청년, 주택, 노동분야 등 도정전반에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사람 중심의 인구정책을 만들자는 취지로 도민 참여형 인구톡톡위원회 운영, 분만취약지 임산부 교통비 지원, 360°돌봄 언제나 돌봄, 난임부부를 위한 정책을 지원 중이다. 또한 0.5&0.75잡, 임금삭감없는 주4.5일제, 아빠육아휴직 장려금 지급도 제공하고 있다.
호미자 경기도 인구정책담당관은 “저출생 대응을 위해 체감형 인구정책 추진, 가족친화적 문화 분위기 조성과 일·가정 양립 정책을 전 실·국이 다함께 추진한 것이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며 “계속해서 결혼·출산·양육의 부담을 줄이는 좋은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