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한랭질환 진단시 소정의 비용… 기후위성 이달중 사업자 선정

‘김동연표’ 기후 경제 전환 프로젝트가 이달 전국 최초 기후보험을 시행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기후위성도 이달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해 전국 지방정부에서 처음으로 운용에 나선다.

도는 3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기후경기 3대 프로젝트’ 추진 소식을 알렸다. 우선 이달 시작하는 기후보험은 모든 도민에 온열·한랭질환 등을 진단받을 경우 소정의 비용을 지급하고 기상특보와 관련해 4주 이상의 상해를 입을 경우 위로금을 지원하는 보험이다.

특히 기후 취약계층으로 분류되는 16만명가량엔 온열·한랭질환에 따른 입원비와 기상 특보 시 의료기관으로 향할 수 있는 교통비 등도 추가로 지급한다.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모든 도민이 자동으로 가입된다. 1년 단위 계약으로 운영된다.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우주 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경기 기후위성’도 이달 중 최종 사업자를 선정한다. 위성을 개발·발사하고 운영할 국내 산업체 또는 연구기관 등을 오는 10일까지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최소 3기의 인공위성을 설계, 개발, 발사하겠다는 게 경기도 구상이다.

또 올 2분기 내에 기후펀드(공공 주도 재생에너지 이익공유제)도 추진한다. 도내 미활용 국·공유지를 활용해 경기도주식회사가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립하고, 발전 수익 일부를 지역주민들에게 환원하는 구조다.

기후 경제로의 전환은 대권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는 김 지사의 대표 정책이기도 하다. 김 지사는 이른바 ‘대바시(대한민국을 바꾸는 시간)’ 시리즈로 ‘김동연표’ 정책을 잇따라 제안하고 있는데, 이 중 첫 번째가 기후 경제 대전환이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도 SNS에 세 번째 대바시 시리즈를 게시했다.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대기업 지방 이전, 지역 거점 대학 투자 확대 등 ‘지역 균형 빅딜’이 필요하다는 게 핵심이다.

일본 도요타시처럼 지방으로 이전한 10개 대기업 중심으로 경제도시를 만들어 획기적 혜택을 부여하고, 10개 지역 거점 대학에 대한 투자를 연 5천억원 규모로 늘려야 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에 더해 충청지역의 숙원인 대통령실·국회 세종 이전을 다시금 촉구했다.

/강기정·이영지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