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욱 사회부 기자
김형욱 사회부 기자

4일 전국의 학교가 2025학년도 1학기 개학을 맞았다. 새로운 환경에서 학교생활을 시작하는 학생들로 전국의 학교에 생기가 도는 시점이 바로 이때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그 어느 개학일보다 긴장하고 있다. 올해부터 교육부가 추진하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기 때문이다.

고교학점제는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수강 신청을 하는 개념과 비슷하다.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게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192학점 이상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제도다. 학생들에게 폭 넓은 수업 선택권을 보장하고 자신의 진로를 미리 고민해 볼 수 있다는 점이 고교학점제의 장점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계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제도이기 때문에 현장에 안착하기는 쉽지 않다.

먼저 과목별 학점인정 이수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학생들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이 기준을 넘지 못해 학점을 따지 못하면 자칫 졸업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교사들은 이같은 학생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충지도를 해야 하고 이는 업무 부담으로 돌아온다.

미이수자를 줄이기 위해 평가기준을 낮추는 방법도 있지만 학생의 학력 신장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밀어붙일 수도 없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학생 수를 보유한 경기도의 경우 경기도교육청이 수년 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운영해 왔으나 현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계속 나왔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교사노동조합,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경기지부,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 등 경기도내 교원 3단체와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는 지난 1월14일 경기도교육청에서 ‘2025 고교학점제 전면시행, 충분히 준비되었나’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기도 했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경기도교육청은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른 학교의 어려움에 대해 경청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김형욱 사회부 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