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측, 최근 응급실 폐쇄·구조조정 단행

전종덕 “종합병원급으로 격상 조치 해야”

진보당 전종덕 의원이 지난 4일 인천보훈병원을 방문해 병원 노동자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 /전종덕 의원실 제공
진보당 전종덕 의원이 지난 4일 인천보훈병원을 방문해 병원 노동자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 /전종덕 의원실 제공

‘간호사 출신’인 진보당 전종덕(비례) 의원이 지난 4일 인천보훈병원을 방문해 적자 해소를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진행했다.

인천보훈병원은 국가보훈부 산하 공공의료기관으로 2018년 개원했으며, 현재 15개 진료과, 137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지속된 적자로 운영난에 허덕이면서 지난 1일 결국 응급실을 폐쇄하고, 비정규직 계약 해지 등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전 의원은 이날 관심을 촉구하는 병원 노동자들의 요구에 한달음에 달려가 낮 12시부터 4시간 동안 조합원, 병원 관계자와 릴레이 간담회를 갖고 현장 순회까지 마쳤다.

이 자리에서 노조는 “병원의 적자가 300 병상 미만의 병원급 운영 등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됐음에도 근본적인 개선책 없이 노동자와 국가유공자들의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며 “특히, 전 이사장은 약속했던 300 병상 확대 및 500억 원 투자 계획을 이행하지 않은 채 운영 실패의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어 김춘동 병원장은 “적자 해결 방안을 위한 자구책으로 응급실을 불가피하게 폐쇄하게 됐다”며 “긴축재정을 통해 적자 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며, 적자 원인진단과 운영개선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전종덕 의원은 “적자 해소를 위한 구조조정 강행이 국가유공자의 의료서비스 질 저하와 공공의료 체계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병원 측에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코로나 팬데믹과 의료 환경 악화 속에서도 헌신해온 의료진과 노동자들이 적자를 이유로 구조조정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응급실 폐쇄 등의 조치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와 노동조건 악화를 초래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유공자와 지역사회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병원으로서, 구조조정이 아닌 병상 확대, 진료과 확충, 인력 보강 등을 통해 종합병원급으로 격상해야 적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지역 필수 거점병원으로 지속가능한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함께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한편 전종덕 의원은 과거 강진의료원 간호사로 근무하다 한국의 IMF 사태 외환위기 당시 구조조정 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이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사무총장을 역임한 뒤 제7대 전라남도의회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국회 입성 이후에는 과거 발자취를 토대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간호법 일부개정법률안’,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등 공공의료 분야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법안 개정을 하고 있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이 지난 4일 인천보훈병원을 방문해 김춘동 병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병원 운영현황을 듣고 있다. /전종덕 의원실 제공
진보당 전종덕 의원이 지난 4일 인천보훈병원을 방문해 김춘동 병원장을 비롯한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병원 운영현황을 듣고 있다. /전종덕 의원실 제공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