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진료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는 인천보훈병원의 응급실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응급실 진료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는 인천보훈병원의 응급실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인천보훈병원 응급실이 지난 1일 문을 닫았다. 지속적인 적자 때문이다. 인천보훈병원은 국가보훈부 산하 공공의료기관으로 인천권역과 경기 서부지역의 취약한 보훈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2018년 개원했다. 인천권역과 경기 서부지역 국가유공자와 지역 주민 건강 증진에 기여해 왔지만 개원한 해부터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인천보훈병원을 이용해온 유공자와 가족들, 그리고 인근 주민들은 응급실 폐쇄 이후 병원이 문을 닫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인천보훈병원은 137개 병상 15개 진료과를 운영하고 있는 ‘병원급’ 일반병원이다. 종합병원 최소 기준보다 많은 137개 병상을 갖췄지만, 정작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는 비용은 종합병원보다 낮다. 병상을 풀 가동해도 적자를 면치 못한다. 일반병원은 응급실 운영이 필수가 아닌 만큼, 수익 구조 개선을 위해 부득이 응급실 문을 닫기로 했다는 것이다. 병원 측은 또 적자 해소를 위한 불가피한 자구책으로 구조조정까지 강행하고 있는데, 자칫 국가유공자의 의료서비스 질을 떨어뜨리고 공공의료 체계를 악화시킬 수 있어 걱정스럽다.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인천보훈병원의 운영 위기는 만성적자 구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천보훈병원만 전국 6개 보훈병원 중 유일하게 일반병원이다. 인천보훈병원의 병상 수는 중앙보훈병원의 10분의1, 대전보훈병원의 3분의1 수준이며 진료과목도 가장 적다. 인천보훈병원의 의료진도 부족해 과목당 의사는 1명이다. 종합병원은 대부분 2인 이상의 의사로 진료과를 운영하고 있다. 불리한 의료 수가 때문에 의사 급여수준이 낮아서 채용공고를 내도 의사를 충원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의료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으니 인천보훈병원의 내원환자도 줄어 일평균 외래환자 수가 600명에 불과한 악순환이 발생하는 것이다. 병원 개원 당시 개원 일정에 집착한 나머지 의료서비스의 질과 운영수지 문제를 차분하게 검토하지 않은 탓이다.

국가유공자들은 대부분 고령자들로 응급실 이용 빈도가 높은 실정인데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는다면 보훈병원의 핵심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응급실을 비롯한 필수 진료과의 진료도 가능해야 한다. 만성적자 구조를 개선하면서 의료서비스의 양과 질을 동시에 높이자면 일반병원으로는 불가능하다. 종합병원의 기능과 운영 구조를 갖추는 일이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