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종합계획 수립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18.9㎍/㎥… 전국 17개 시도 1위

지리적 요인 한몫 85개 사업 추진

인천시는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25년 미세먼지 저감사업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8.9㎍/㎥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관측 시작 이래로는 가장 낮은 수치이지만, 전국 평균(15.6㎍/㎥)을 웃돌며 개선이 필요한 상태다. 지난해 인천지역 미세먼지 등급 일수는 ‘좋음(0-15㎍/㎥)’, ‘보통(16-35㎍/㎥)’ 등급이 343일로 전년 대비 19일 증가했고, ‘매우 나쁨(76㎍/㎥ 이상)’ 등급의 일수는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인천시는 전국에서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가장 높은 이유로 ‘지리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인천 등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대기가 정체하면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한다는 게 인천시 설명이다.

인천시는 자체 발생 요인을 최대한 줄여 대기질 개선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중 40%가량은 공사장·도로 등에서 나오는 비산먼지다. 다음으로는 공항·항만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약 28%, 발전·산업 부문이 18%, 농업·생활 부문 6.7% 등 순이다.

인천시는 올해 ▲비산먼지 ▲항만·항공 ▲발전·산업 ▲농업·생활 ▲수송 ▲측정·분석 등 6개 분야 85개 사업을 추진해 대기질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사업비로 2천551억원을 투자한다.

인천시는 38억원을 들여 도로 청소차를 투입해 미세먼지 취약도로 비산먼지 제거 사업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항만·공항 발생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선 선박에서 황 함유량 기준에 적합한 연료유를 사용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사업을 올해 새로 시작한다. 선박 연료유에 포함된 황 성분은 항만지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외에도 농촌에서 영농 잔재물 소각 행위를 줄이기 위해 ‘영농 잔재물 파쇄기 임대 지원’사업을 신규로 시행하고, 노후 농업기계 조기폐차 지원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또 초미세먼지 고농도 위기경보가 발령될 경우,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할 방침이다.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면 건설 공사장에서 비산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공정을 단축·조정하고,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이뤄진다.

박성연 인천시 대기보전과장은 “도로먼지, 건설공사 비산먼지, 수송 분야 등 시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핵심 배출원에 대한 저감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체계적인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통해 맑고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