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커뮤니티센터·목욕탕 등 건립

인천시가 올해 특수상황지역에서 다양한 개발사업을 추진해 이곳 주민 정주 여건 향상에 힘쓴다.
인천시는 최근 강화군 15개, 옹진군 26개 등 ‘2025년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 41개를 확정해 해당 군에 추진계획을 통보했다고 9일 밝혔다.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은 주민 복지 향상과 지역 발전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섬지역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특수상황지역은 ‘섬 발전 촉진법’에 따른 개발 대상 섬,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에 명시된 접경지역을 의미한다. 인천에서는 32개 개발 대상 섬, 접경지역인 강화·옹진군이 해당한다.
인천시는 올해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백령도 복합커뮤니티센터(116억원), 대청도 마을문화 복합센터(29억원), 덕적도 공공목욕탕(30억원)을 건립한다. 또 연말까지 연평도 연평리 505-9 일원 공유수면에 기암괴석과 해안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575m 길이 해안데크(39억원)를 조성해 관광객 유입을 돕고자 한다. 강화군 화도면 여차리 일원에는 저어새 생태학습장 조성사업(33억원)을 추진한다. 기존 강화갯벌센터를 저어새 생태학습장으로 재구성하고, 주변 해넘이길 경관도 조성한다.
앞서 인천시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특수상황지역 개발사업에 선정돼,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로 국비 8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올해는 41개 사업에 국비 258억원을 포함해 총사업비 32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동우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지리적 여건이 특수한 강화군, 옹진군 정주 환경 개선을 위해 국비 확보에 힘쓰겠다”며 “관광 활성화, 자연환경 보전, 문화·복지 증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