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광역철도인 위례과천선의 국토부 최적 노선안이 과천 주암지구를 사실상 ‘패싱’해 과천 지역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문제의 노선은 그동안 과천시에서 요구하던 방향과는 달리, 과천 진입부에서 서울 서초구 쪽으로 꺾여 있다. 막대한 광역교통개선 분담금과 차량기지까지 수용한 과천시 입장에서는 분통 터질 일이다. 과천시는 국토부에 의견을 제출하고 주암지구 입주를 추진 중인 기업들과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과천시의회와 시민단체들도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에 머리를 맞댔다.
위례과천선은 서울시 서초·강남·송파구 및 과천시·성남시 일원에 16개 역사 총연장 28.25㎞ 규모의 민간투자사업 광역철도다. 올해 하반기 제3자 제안 공고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하고, 내년말 본격 착공해 2031년 개통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26일 ‘위례~과천 광역철도 민간투자사업 전략 및 환경영향평가 항목 등의 결정내용’을 공개했다. 총 3개의 노선안(대안노선)을 제시했는데 ‘대안노선1’을 최적 노선으로 선정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대안노선1’은 서울 우면2지구와 서초지구 중심을 지나 과천지구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암지구 대부분이 위례과천선 혜택에서 벗어난다. 과천시는 주암지구 동쪽 양재IC에서 주암지구 중심부를 지나 과천과천지구로 연결되는 ‘양재IC(장군마을)역~주암지구역~과천지구역~문원역’ 설치를 줄곧 요구해왔다. 국토부가 제시한 3개 노선 중 ‘대안노선2’가 그나마 유사하다.
위례과천선은 신계용 과천시장의 민선 6기 재임 시절에 ‘과천~양재 노선’을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주암지구를 비롯해 정부 과천 3기 신도시 등의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추진해온 노선이다. 시는 수차례 실무협의와 단체장 회의를 갖는 등 개통을 위해 꾸준히 공들여왔다. 하지만 난데없이 서울시의회가 지난해 12월 ‘선바위역~우면역~우면동 경유’ 등을 요청하는 주민청원서를 공식 채택해 국토부에 제출했다. 과천시의회도 결의안 채택으로 응수했다.
과천시는 과천과천지구와 주암지구에 위례과천선을 끌어오기 위해 광역교통개선 분담금 4천억원을 투입한다. 전체 사업비 약 3조원의 15%를 육박하는 금액이다. 여기에 기피시설인 철도차량기지까지 관내에 전격 수용했다. 최종 노선은 주민 의견수렴과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결정된다. 올 상반기가 노선 결정의 가장 중요한 시기다. 사업의 기여도가 높고 희생을 감수한 과천시의 요구가 패싱 당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