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만대… 국내판매 6.5% 감소
美 관세 영향, 올 수출마저 악재
지난해 내수 부진으로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규모가 세계 7위로 내려앉았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0일 발표한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이 전년 대비 0.5% 감소한 9천395만대로,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급감(-15.4%)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는 도요타, 혼다 등의 품질 인증 문제가 벌어진 일본(-8.5%) 생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으며, 태국(-20.0%), 스페인(-3.0%), 한국(-2.7%) 등도 생산이 줄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를 기록해 세계 7위로 하락했다. 한국의 경우 수출 대수는 0.6% 증가했지만,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만5천대(-6.5%)로 떨어지면서 생산 규모가 줄었다.
보고서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기반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잠재 수요가 적어 올해 내수가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생산 확대 효과는 크지 않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또 올해 중국 업계의 세계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은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완성차 기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 기업들의 해외 생산과 투자 확대를 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 약화로 글로벌 ‘톱10’ 생산국에서 밀려날 수 있으며, 이는 전후방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KAMA 관계자는 “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 생산을 촉진·지원하는 ‘국내생산촉진세제’(가칭)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